의료기관과 연계해 치매 지원서비스 존재 홍보
보건복지부는 2월 5일 치매환자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의료기관에서 치매환자 진료 시, 환자 또는 환자가족 등에게 치매안심센터를 적극 안내하도록 지방자치단체, 대한의사협회, 대한병원협회 등에 협조를 요청했다.
치매안심센터는 전국 시·군·구에 걸쳐 256개소가 설치돼 있으며, 등록된 치매환자에 대해 의료·복지 서비스를 직접 지원하거나 외부 지원 서비스를 연계시키는 등 치매환자 지원에 중추적 역할을 하고 있다.
| ※ 치매안심센터 주요 역할 |
|
▪ 서비스 직접 지원: 치매조기검진, 치매환자쉼터 제공, 조호물품․치매치료관리비 지원, 치매환자 가족․보호자 대상 가족교실 운영 등 |
그럼에도 일부 치매환자들은 치매안심센터의 존재 자체를 알지 못하여 지원서비스를 받지 못할 수 있는데, 치매를 진단하고 치료하는 의료기관 현장에서 치매환자와 가족에게 치매안심센터를 안내할 경우 이러한 문제가 상당히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
보건복지부 염민섭 노인정책관은 “최근 치매환자를 간병하던 가족이 치매 안심센터나 장기요양보험 등에 등록하지 않고 환자와 함께 극단적 선택을 했던 안타까운 사건이 있었다”라고 언급하며, “치매안심센터 안내를 강화하여 치매환자와 가족이 적절한 지원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 보건복지부 2024년 '치매정책 사업안내' 개정, 치매환자 지원 확대
- [초고령사회 초읽기] ② 치매 간병, 끝까지 책임지지 못해 절망한 이들의 선택
- [기자의 눈] 획일적인 치매선별검사, 이대로 괜찮은가?
- ‘치매관리주치의’가 치매환자의 치료, 관리의 지속성을 높인다
- [인터뷰] 정경환 나들이데이케어센터 대표, 돌봄 현장에서 보는 치매 정책
- 치매, 병원·지역사회 간 유기적인 연계 필요
- 알츠하이머병 유발 독성 단백질 고감도 검출기술 세계 최초 개발
- [초고령사회 초읽기] ③ 치매 환자 손톱 깎아준 뒤 출혈 숨겨 손가락 괴사, 근본적인 문제는?
- [치매안심동네 브리핑] 광주광역시·곡성군·함양군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