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츠하이머병 유발 독성 단백질 고감도 검출기술 세계 최초 개발
알츠하이머병 유발 독성 단백질 고감도 검출기술 세계 최초 개발
  • 황교진 기자
  • 승인 2024.02.06 09:2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치매 예측 기술 게임체인저로 가능성 제시
1만 원 이하 치매 예측 기술 개발로 국민건강검진 적용 목표

6일, 김종승 고려대 화학과 교수(차세대분자테라노시스연구단 단장), 이건호 조선대 의생명과학과 교수(가드코호트연구단 단장), 김영수 연세대 약학과 교수 공동연구팀은 치매 유발 독성 단백질인 베타아밀로이드 응집체(Oligomer)를 측정할 수 있는 새로운 형광물질 개발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치매 동물모델뿐 아니라 사람의 뇌조직과 체액검사를 통해 인체 적용 가능성을 입증해 알츠하이머 치매를 조기에 예측하고자 하는 신의료기술 분야에 지각변동을 예고했다.

치매 환자의 70%를 차지하는 알츠하이머 치매는 65세 이상 노인에게 주로 발병해 기억력과 인지력 저하 증세를 보이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 악화되어 인간의 정체성까지 잃게 한다. 발병 원인은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베타아밀로이드'로 불리는 독성 단백질이 뇌에 축적되면서 신경염증을 유발해 뇌세포를 죽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연유로 독성 단백질인 베타아밀로이드가 뇌 속에 쌓여 있는 것을 조기에 발견해 이를 제거하는 항체치료제를 투약하는 방안이 유일한 치료법으로 여겨지고 있다.

그러나 치매 조기 예측을 통한 선제적 예방치료가 실현되기 위해서는 증상이 없거나 뚜렷하지 않는 질병 초기단계에서 뇌 속에 침착되고 있는 베타아밀로이드를 탐지해 내야 한다. 현재로선 뇌 속에 쌓여 있는 베타아밀로이드를 측정하는 기술은 양전자단층촬영(PET)검사가 유일하다. PET검사는 수십억 원에 이르는 고가의 장비를 갖춰야만 가능한 검사라 일반 병원에서 쉽게 접할 수 없으며, 검사비용도 최소 100만원 이상 소요된다. 또한 이 검사를 위해선 반감기가 짧은 방사능 추적물질을 혈관에 주사해야 하기에 사전 예약이 필수며 극히 제한적으로만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치매 고위험군에 속하는 60대 이상의 정상인을 대상으로 대규모 신속검사가 가능한 저가의 범용기술이 개발되지 않는 한 치매 조기 예측을 통한 치매 예방은 현실적으로 불가능에 가깝다.

 

알츠하이머병 체외 조기진단 시스템 구축 모식도 / 조선대 치매국책연구단
알츠하이머병 체외 조기 진단 시스템 구축 모식도 / 조선대 치매국책연구단
뇌 조직에서의 정상 대조군 비교를 통한 알츠하이머병 모델의 형광 신호 / 조선대 치매국책연구단
뇌 조직에서의 정상 대조군 비교를 통한 알츠하이머병 모델의 형광 신호 / 조선대 치매국책연구단

연구팀은 이러한 현실적 한계를 극복하고자 뇌 속에서 베타아밀로이드 응집체와 직접 결합해 형광빛을 발하는 물질을 이용해 범용적인 치매 예측 진단 기술을 개발하는 데 집중해 왔다. 이번에 발표한 연구성과를 통해 뇌 속에서 생성되는 베타아밀로이드 응집체를 직접 측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알츠하이머병 환자의 뇌척수액에서도 베타아밀로이드 응집체의 농도를 정확히 측정해 낼 수 있음을 입증했다.

베타아밀로이드 응집체에 특이하게 결합하는 형광물질을 설계한 고려대 김종승 교수는 “이번에 개발된 물질은 적은 비용으로 대량 합성이 가능해 1만 원 이하의 치매 발병 조기 예측 검사가 실현될 날이 멀지 않았다”며 “국민건강검진에 적용할 수 있는 범용적 기술 개발을 위해 남아 있는 마지막 장벽은 혈액에서 베타아밀로이드 응집체를 안정적으로 측정하는 기술을 확보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 혈액진단검사 전문기관과 협업을 추진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한편, 아시아 최대 지역사회 치매고위험군 코호트(가드코호트)를 구축해 온 조선대 이건호 교수는 ”대규모 신속검사가 가능한 범용성 높은 치매 예측 기술의 실용화를 위해선 증상이 없는 초기 단계의 알츠하이머병 환자를 대상으로 치매 발병 예측 정확도를 입증해야만 한다“라며, ”지난 10년간 60세 이상 지역민들을 대상으로 정밀의료검사를 통해 치매 고위험군을 선별해 장기 추적관리와 동시에 혈액검체를 확보해 왔기에 가드코호트의 검체를 활용하면 전 세계에서 가장 신속하게 치매 발병 예측 정확도를 검증할 수 있어 수년 내에 국민건강검진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자신감을 피력했다.

 이번 연구성과는 리더연구지원자지원사업, 한국뇌연구원 서남권협력사업, 중견연구자지원사업 등 과기정통부의 지원을 받아 이루어졌으며, 국제 저명학술지인 <네이처 커뮤니케이션(Nature Communications)>(IF 17.7) 최신호에 게재됐다.

 

왼쪽부터 김종승 고대 화학과 교수, 이건호 조선대 의생명과학과 교수, 김영수 연세대 약학과 교수
왼쪽부터 김종승 고대 화학과 교수, 이건호 조선대 의생명과학과 교수, 김영수 연세대 약학과 교수 / 조선대 치매국책연구단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