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당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김기웅 교수팀 연구
오메가3 섭취와 인지기능 개선 상관관계 규명
40대 이상 중장년층의 오메가3 섭취량과 기간에 따른 인지기능 영향 메타분석

중년 이후 오메가3 섭취는 인지기능 중 하나인 집행기능 향상에 '잠재적 이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분당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김기웅 교수팀이 40대 이상 중장년층의 오메가3 섭취량과 기간에 따른 인지기능 영향을 분석한 결과다.

오메가3는 EPA, DHA 등을 주요 구성성분으로 하는 지방산의 한 종류다. 오메가3를 섭취하면 지질개선과 항염증 및 항혈소판 작용으로 혈관을 보호하고 신경 발달, 시냅스 기능을 촉진해 인지기능을 개선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동안 오메가3의 섭취 용량 가이드라인 연구는 심혈관계 질환 예방에 초점을 맞추어 왔고, 인지기능 관리 차원의 오메가3 용법에 관한 연구는 없었다.

이에 김기웅 교수팀은 기존 연구들을 활용하는 메타분석으로 치매가 없는 40대 이상에서 오메가3 섭취량과 인지기능 간의 상관관계를 규명하는 연구를 실시했다. 메타분석이란 특정 주제에 대해 진행된 여러 연구 중 적합한 연구를 선별하고 분석·요약하는 방법이다. 통계적인 검정력이 높아 다양한 연구 결과를 보이는 주제에 대해 최적의 결과를 도출하는 강점을 지닌다.

김 교수팀은 오메가3와 관련된 논문 1,386편 중 ▲40대 이상 무작위 선별 ▲위약 대조 ▲3개월 이상의 연구 기간 ▲적절한 인지 테스트 결과 등을 기준으로 연구에 적합한 논문 24편을 선정했다. 선정된 논문을 종합하면, 연구 대상 수는 치매가 없고 40대 이상인 9,660명이었으며, 연구 기간은 3개월~36개월, 오메가3 하루 복용량은 230mg~4,000mg이었다. 이를 바탕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했다.

연구 결과, 치매가 없는 40대 이상에서 오메가3 섭취는 인지기능 중 하나인 집행기능을 향상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오메가3 섭취를 시작한 첫 12개월 동안 집행기능의 향상 효과가 증가했고, 하루에 500mg 이상의 오메가3를 섭취하거나, EPA 성분을 하루 420mg까지 섭취할 때 이러한 효과가 나타났다. 집행기능이란 여러 하위 인지기능을 제어, 조절하는 기능으로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계획을 세우고 행동을 조절하는 능력을 말한다.

이 연구는 오메가3의 섭취량과 기간에 따라 중년 이후의 집행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최초의 메타분석이다. 단순히 오메가3와 집행기능 사이의 연관성만 살핀 것이 아니라 집행기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기대할 수 있는 오메가3 섭취량과 기간을 구체적으로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김기웅 분당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기존의 오메가3 섭취 용량 가이드라인이 심혈관계 질환 예방에 초점을 맞췄다면, 이번 연구는 집행기능을 관리할 수 있는 오메가3 섭취량을 밝혔다는 데 의미가 있다”며, “식사 패턴에서 고등어 등 등푸른생선과 계란, 아몬드, 두부 등 오메가3가 풍부하게 들어 있는 식품의 섭취량을 늘리면 건강한 뇌를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논문은 SCIE 국제의학학술지 <BMC Medicine>(IF 9.3) 3월 12일에 게재됐다.

논문의 결론을 옮기면, 현재 24개 연구(9660명, 3~36개월 추적 관찰)에 대한 메타 분석에 따르면 실행 기능에 대한 유익한 효과는 개입 후 초기 12개월 이내에 상승하는 경향을 보이며, 이러한 효과는 매일 500mg 이상의 오메가3 다중불포화지방산과 최대 420mg의 에이코사펜타엔산(EPA)을 섭취할 때 관찰된다. 또한 이러한 경향은 혈중 도코사헥사엔산(DHA) + EPA 수치가 그다지 낮지 않은 지역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따라서 오메가3 불포화지방산을 보충하면 중장년층과 노년층, 특히 식이 DHA + EPA 수치가 크게 감소하지 않은 사람의 실행 기능에 '잠재적인 이점'(potential benefits)이 있을 수 있다.

 

메타분석을 위한 다이어그램 / https://doi.org/10.1186/s12916-024-03296-0
메타분석을 위한 다이어그램 / https://doi.org/10.1186/s12916-024-03296-0

 

논문
Suh SW, Lim E, Burm SY, Lee H, Bae JB, Han JW, Kim KW. The influence of n-3 polyunsaturated fatty acids on cognitive function in individuals without dementia: a systematic review and dose-response meta-analysis. BMC Med. 2024 Mar 12;22(1):109. https://doi.org/10.1186/s12916-024-03296-0. PMID: 38468309; PMCID: PMC10929146.6.

관련기사
저작권자 © 디멘시아뉴스(dementia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