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연구진, 독립적인 노인 2,802명 10년간 연구 데이터 분석
70대까지 금융 관리 능력 양호하지만 치매 진단 후 급락

70대까지 노인의 금융 관리 능력은 향상되지만 치매 진단 후 급격히 떨어진다. / 생성형 AI
70대까지 노인의 금융 관리 능력은 향상되지만 치매 진단 후 급격히 떨어진다. / 생성형 AI

노인들은 나이가 들수록 금융 업무 처리가 힘들어진다는 통념과 달리, 70대까지는 본인의 관리 능력을 정확히 인식하고 실제로도 향상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다만, 치매가 진단을 받으면 오히려 자신의 금융 관리 능력을 과대평가하거나 반대로 지나치게 깎아내리는 등 판단 착오를 일으켜 사기 범죄에 쉽게 노출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됐다.

미국 뉴욕주립 빙엄턴대(SUNY Binghamton University) 심리학과 이언 맥도너(Ian McDonough) 교수팀은 독립적이고 건강한 노인 2,802명을 대상으로 10년간 수집된 인지 훈련 연구 데이터를 분석했다.

이번 연구에서는 금융 업무 수행 능력에 대한 참가자들의 주관적 인식과 객관적 평가 간 연관성을 조사하고, 이러한 상관관계가 인지기능 쇠퇴와 함께 어떻게 변화하는지 살펴봤다.

참가자들은 ▲잔돈 계산 ▲공과금 납부 ▲가계부 작성 등 실생활에 밀접한 금융 관련 업무를 얼마나 잘 수행할 수 있는지 자가진단했다. 이후 연구팀은 이들에게 해당 업무들을 직접 수행하도록 요청했다.

예를 들어, 한 실험에서는 헬스장 회원권 요금이 적힌 광고 전단을 보여준 뒤 참가자들에게 10년간 총비용을 계산하도록 하는 과제를 진행했다.

그 결과, 일반 고령자들은 자신의 금융 관리 능력을 정확하게 인지하고 예측했다. 또한 나이가 들고 경험이 쌓일수록 이러한 판단력이 오히려 향상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맥도너 교수는 “70대까지 인지능력을 잘 유지한다면, 금융 관리 능력에 대한 자기 예측이 더 정확해질 수 있다”면서 “특히 퇴직 후 사회보장제도, 메디케이드, 메디케어 등 금융 관련 업무를 다루면서 더 많은 노하우를 축적하고 학습하기 때문”이라고 해석했다.

문제는 알츠하이머병이 시작된 이후다. 이때부터 치매 환자들은 자신의 금융 관리 능력을 객관적으로 판단하는 능력이 급격히 떨어진다. 이들은 실제 능력이 부족하면서도 본인 스스로 여전히 금융 업무에 능숙하다고 착각하거나, 반대로 스스로를 과소평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연구팀은 이에 대해 알츠하이머병의 대표적 증상 중 하나인 ‘질병 인식 불능증(anosognosia)’을 원인으로 꼽았다. 질병 인식 불능증은 알츠하이머병 환자가 자신의 인지 저하를 인식하지 못하는 증상이다.

이번 연구는 고령자를 대상으로 한 조기 금융 보호장치와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평생 금융 업무를 처리해 온 사람은 알츠하이머병 진단을 받아도 ‘나는 아직 할 수 있다’고 생각하며 독립성을 고집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들을 보호하기 위한 안전장치가 마련되지 않으면, 잠재적으로 사기나 금융 범죄에 노출될 위험성이 크다고 경고했다.

연구팀은 “금융 관리에서의 자율성은 개인에게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며 “인지 저하를 겪는 고령자의 자율성을 박탈하기보다는 함께 협력하는 방식으로 접근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균형점을 찾는 게 쉽지 않다”고 설명했다.

맥도너 교수는 “개인이 금융 관리 능력 저하를 느끼기 시작하는 초기 단계에 가족과 지인들이 함께 보호방안을 마련하고, 은행 계좌 정보를 공유하는 등 안전망을 미리 구축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The Gerontologist’ 최신호에 실렸다.

 

참고 자료

Ian M McDonough et al.,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and Objective Financial Abilities Among Older Adults: Results From the Advanced Cognitive Training for Independent and Vital Elderly Cohort, The Gerontologist, Volume 65, Issue 7, July 2025, gnaf125, https://doi.org/10.1093/geront/gnaf125

https://www.binghamton.edu/news/story/5611

관련기사
저작권자 © 디멘시아뉴스(dementia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