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FDA, 치매예방 건강보조식품에 '철퇴'…연구자들 '지지'
美FDA, 치매예방 건강보조식품에 '철퇴'…연구자들 '지지'
  • 최봉영 기자
  • 승인 2019.03.13 17:0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질환 예방·치료에 근거없는 보조식품에 규제 강화 시사

미국FDA가 알츠하이머 치매 등 질환에 효과가 있다고 광고하는 건강보조식품에 대해 강력한 철퇴를 예고하고 있다.

상당수 기업이 임상적 효능을 입증하지 못했음에도 소비자를 교묘하게 속여 제품을 판매하는 사례가 다수 발견되고 있어 앞으로는 제동을 걸겠다는 의미다.

지난달 미국FDA는 건강보조식품 제조판매업체들에 12건의 경고 서한과 5건의 온라인 주의 서한을 발송했다. 서한을 품목수로 보면 58개에 달한다.

미국의 경우 판매되고 있는 제품 중 문제가 있다고 판단될 경우 임시수입정지(DWPE) 조치를 내리기도 한다. 해당 목록 이름이 오를 경우 제품 판매를 할 수 없는 강력한 조치다.

FDA의 이번 서한 발송은 큰 의미를 지닌다. FDA가 건강보조식품에 대해 취하고 있는 규정에 대한 대대적인 개선을 시사하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에서 건강보조식품은 의약품보다 규제가 훨씬 느슨하다. 제품 허가를 위해 별도의 안전성이나 효능 시험이 요구되지 않는다. 특히 FDA는 건강보조식품의 순도를 규제하고 있지 않아 유해 성분이나 활성약품을 함유할 수도 있음에도 판매에는 별다른 제한이 없다.

실제 FDA에서도 이 같은 점에 대한 문제를 인식하고 있으며, 향후 규제 변화를 암시하고 있다. 변화의 큰 틀은 건강보조식품이 안전하지 않다고 판단되거나 허위 정보를 담고 있는 경우, 입증되지 않은 내용을 광고하는 경우 곧바로 규제에 나서겠다는 것이다.

FDA는 특히 노인들을 대상으로 인지기능개선이나 치매에 효과가 있다는 것을 광고하는 건강보조식품을 특정적으로 언급하기도 했다. 미국에서 노인의 80%가 건강보조식품을 복용할 정도로 시장이 크기 때문이다.

실제 미국의 건강보조식품은 400억달러에 달한다. 또  뇌건강 관련 건강보조식품 전세계적으로 30억달러 이상을 차지하며, 2023년에는 58억달러로 커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미국의 알츠하이머 연구자들도 FDA의 이 같은 정책 변화에 박수를 보내고 있다. 그동안 효능이 입증되지 않은 건강보조식품이 소비자를 현혹시키고 있다는 점에 공감하고 있다는 얘기다.

알츠하이머 협회는 성명을 통해 "파괴적인 질병인 알츠하이머로부터 피해를 입은 개인을 대상으로 한 부정한 사업에 대해 연방정부 기관이 신속하고 단호하게 조치를 취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밝혔다.

많은 신경과학자들은 대부분의 뇌 건강보조제가 효과적이지 않다고 믿고 있다. 한 연구자는 "건강보조제가 무용지물일 가능성이 매우 높고, 일부는 잠재적으로 위험할 수 있다"며 "보조제가 스스로 복용해도 안전하다고 하더라도, 처방약이나 다른 보조제와 예측할 수 없는 방법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 일부 알츠하이머 환자들은 증명되지 않은 치료법에 돈을 쓰고 있어 승인된 알츠하이머 치료법을 포기하는 경우도 있다. 이에 대해 한 연구자는 "알츠하이머를 치료를 위해 아리셉트가 아니라 생선기름을 복용했다면 부끄러운 일"이라고 언급했다.

하지만 건강보조식품을 판매하는 기업들은 비타민, 셀레늄, 허브추출물, 커큐민, 녹차, 오메가3 지방산, 코젠자임 등이 알츠하이머 치매환자의 인지기능 향상과 치매 질병 치료를 돕는다는 것을 입증했다는 식의 광고를 내보내고 있다.

기업들의 이 같은 주장은 허위에 가깝다. 실제 어떤 건강보조식품도 중추적인 임상시험에서 알츠하이머환자들에게 병리학적으로 효능을 입증된 바는 없었기 때문이다.

임상의들은 "비타민과 같이 환자들이 객관적으로 결핍이 확인된 경우에 건강보조식품을 복용받도록 권고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FDA의 이 같은 조치와 연구자들의 지지는 국내에도 시사하는 바가 있다.

건강기능식품이나 환자영양식 등 식품 범주에서 관리되는 제품들도 광고에서 애매한 표현으로 소비자를 현혹시키는 사례가 다수 발견되고 있기 때문이다.

국내 건강보조식품 시장 규모 역시 급속도로 증가하는 추세인만큼 소비자의 불필요한 지출을 막기 위해서라도 광고에 대한 규제가 강화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