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인력 부족 등 현실적 지원 절실
요양 시설을 통한 신종코로나 바이러스 집단 감염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코호트 격리에 대한 비관론이 거세지고 있다.
요양병원에 대한 코호트 격리(동일집단격리)가 원점 재검토와 병상 확충, 인력 지원이 지체될 경우, 추가 요양병원발 사망자가 속출할 수 있다는 우려다.
27일 요양병원 의사로 밝힌 청원인은 “코호트 격리되어 일본 유람선처럼 갇혀 죽어가고 있는 요양병원 환자들을 구출해달라”는 제목의 글을 청와대 청원 게시판에 작성했다.
청원인은 "구로구 요양병원에서 최초 21명으로 시작된 코로나 환자는 157명으로 늘었으며, 음성 환자 사망도 격리 기간 동안 8명이 발생했다"고 지적했다.
특히 큰 문제는 간병사 모두와 일부 간호사가 나간 상태에서 사명감으로 일하던 남은 간호사마저도 7명의 확진자가 발생했다는 것이다.
이에 기존 기존 간호인력도 번아웃으로 환자를 돌보지 못하게 될 경우 해결 방안이 전무하다는 호소다.
입원 환자들은 확진에도 치료도 받지 못한 채 병상에 누워있으며, 환자와 보호자들은 타 요양병원도 가지 못해 불안과 절망에 빠져 있다는 설명이다.
청원인은 현재와 같은 상황이 지속될 경우 요양병원은 기능을 상실할 수 있기 때문에 빠른 지원과 대책이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요청사항은 ▲요양병원 코호트 격리 재검토 ▲요양병원 등 시설 행정력 지원 ▲서울 내 코로나 전담병원 확보 ▲코로나 환자 병상 배정 ▲음성 환자 치료가 가능한 요양병원 이송 체계 구축 등이다.
청원인은 중수본 브리핑이 현실과 괴리가 있다며, 여유까지 느껴지는 대응에 현실 감각이 부족하다는 지적도 덧붙였다.
아직 요양병원이 코로나를 통제할 수 있는 역량이 있다며, 요양병원 발생의 경우 요양병원 자체 치료를 고집하는 현 상황도 비판했다.
청원인은 "기존 코로나 환자의 빠른 병상 배정과 음성 환자들에 대한 치료가 가능한 요양병원으로의 이송이 시급하다"며 "이 같은 조치를 통해 추가 확진자 발생과 사망자 발생을 막을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