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츠하이머병 바이오마커 자동 수치화 가능
뇌질환 영상 인공지능(AI) 솔루션 전문기업 뉴로핏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뇌 영상 분석 소프트웨어 ‘뉴로핏 스케일 펫(NEUROPHET SCALE PET-A)’에 대한 2등급 의료기기 인증을 획득했다고 15일 밝혔다.
‘뉴로핏 스케일 펫’은 PET(양전자 방출 단층 촬영) 영상과 MRI(자기공명 영상)를 결합해 알츠하이머병 바이오마커를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자동 뇌 영상 분석 소프트웨어다.
기반 기술인 ‘뉴로핏 세그엔진(NEUROPHET SegEngine)을 활용해 MRI 뇌 영상을 자동으로 구획해서 MRI를 PET 영상과 결합하면 알츠하이머병 바이오마커인 아밀로이드 베타 단백질 침착에 대한 수치화가 가능하다.
알츠하이머병 발병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기존에는 의사나 뇌 영상 전문의가 PET 영상을 직접 육안으로 확인하고 진단을 실시했다. 알츠하이머병 확진 기준인 아밀로이드 베타의 뇌 피질 침착을 판단하기 모호한 경우가 발생하고 기존 분석 솔루션을 사용하면 번거로운 수동 작업이 수반돼 영상 분석에만 약 10시간 이상이 소요되기도 한다.
’뉴로핏 스케일 펫‘은 AI 기반의 뇌 영상 분석 솔루션으로 PET 영상과 MRI를 입력하기만 하면 자동으로 15분 이내에 뇌 세부 영역별 아밀로이드 베타 단백질 침착에 대한 수치화가 가능하다.
뉴로핏은 자체 개발한 ’뉴로핏 스케일 펫‘과 퇴행성 뇌 질환 진단 가이드 솔루션 ’뉴로핏 아쿠아(NEUROPHET AUQA)‘를 고도화해 향후 치매 및 알츠하이머병 진단의 글로벌 표준을 정립하겠다는 계획이다.
빈준길 뉴로핏 대표이사는 “’뉴로핏 스케일 펫‘은 기존 PET 영상 분석 솔루션 대비 분석 시간을 획기적으로 감축시키고 바이오마커를 정량화된 수치로 확인할 수 있어 알츠하이머병 진단뿐만 아니라 신약 개발 등 다양한 연구에도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어 “’뉴로핏 스케일 펫‘ 미국 출시를 위해 조만간 FDA에 인증 신청 서류를 제출할 예정으로 늦어도 내년 상반기에는 FDA 인증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 뉴로핏, 190억원 시리즈B 투자 유치…글로벌 기반 마련
- 뉴로핏, AI 기술 활용 뇌질환 진단-예후 예측결과 발표
- 뉴로핏, 뇌질환 전류자극기 ‘뉴로핏 잉크’ 식약처 의료기기 허가
- NEUROPHET Raises $16m in Series B Funding
- 치매 진단-예방, 고령화 시대 새로운 투자처로 '각광'
-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 정신병 진행? "타우병증 주목해야"
- 알츠하이머병 진단·치료용 의료기기 개발 '봇물'
- 뉴로핏, 치매 전자약 개발 사업…복지부 지원 과제 선정
- 치매 진단 전쟁개막…치매 영상분석 각축전 승자는?
- 뉴로핏, 알츠하이머병 바이오마커 분석 프로젝트 소개
- 뇌질환 영상솔루션 기업 뉴로핏, 치매 정량분석 인공지능 기술 개발
- 뉴로핏 ‘뉴로핏 아쿠아’, 美 FDA 시판전 허가 획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