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 정복' 시대적 과제…"연구‧정책 지원 대폭 늘었다" 
'치매 정복' 시대적 과제…"연구‧정책 지원 대폭 늘었다" 
  • 조재민 기자
  • 승인 2022.08.12 17: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보건의료기술 육성 기본계획 속 치매 영역 다수 포진 
출처. 보건복지부

치매 정복이 국가적 과제로 인식되면서 치매에 관한 국가 지원과 정책이 동반 상승세를 이어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매 영역의 공적 지원 강화를 바탕으로 R&D 예산과 부처별 협력 확대는 물론 치매 인프라 구축 등 다수 영역에서 상승세를 기록 중이다.

최근 복지부는 보건의료 영역의 발전 방향과 계획을 담은 '제2차 보건의료기술 육성 기본계획(18~22년)의 2022년 시행계획'을 발표했다.

보건의료기술 육성 기본계획은 고령화, 감염병 등 고비용 보건의료 문제에 국가적 대응과 의료의 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한 대안 창출의 목적으로 탄생했다. 보건의료기술 진흥법 제4조를 바탕으로 5년 주기로 사업계획을 수립 및 추진한다.

치매는 '공익적 가치 중심의 R&D 투자 강화 영역'에서 세부 영역인 '고령사회 대응 모든 국민 치매 안심 R&D'에 포함돼 예산을 배정받고 있다.

치매 예산의 증액은 치매 영역의 중요성을 투영한다는 해석이다. 지난 2019년 235억원이던 관련 예산은 2021년 392억원으로 66.8%나 증가했다.

배정 예산의 사용처는 ▲인구 고령화에 따라 증가한 치매 치료·간병·돌봄의 사회적 비용 경감을 위한 예방·진단·치료 영역의 R&D 투자 강화 ▲치매의 원인 규명, 발병기전 연구, 예측·진단 기술개발 등 치매 극복을 위한 범부처 협력 사업의 추진이다.

이를 위해 복지부와 과기부는 '치매 극복 연구 개발사업단'을 출범시켜 2021년 157억원의 예산을 배정했고, 2022년에는 225억원으로 확대했다. 치매 극복 연구 개발사업은 2020년부터 오는 2028년까지 9년간 총 1,987억원의 예산이 투입되는 대규모 사업이다. 

치매 영역과 연관성이 높은 '뇌 연구 고도화 및 생애주기별 맞춤형 건강 뇌 실현'을 위한 투자도 확대됐다. 다양한 분야의 신경과학적 원리 및 첨단 의공학 기술 활용을 통한 뇌 질환 예방 및 극복 지원이 목적이다. 

과기부는 뇌 질환 극복 연구사업의 예산을 2021년 78억원에서 2022년 95억원으로 증액했고, 뇌기능 규명 조절기술 개발사업에는 72억원을 신규로 배정됐다.

2022년도 치매 영역의 투자 방향도 공개했다. 2021년은 감염병, 치매 등 질환 극복 및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공익적 R&D에 중점 투자됐지만, 2022년에는 사회·경제적 부담 경감을 위해 감염병, 고부담·난치 질환 극복 등에 대한 투자 강화가 이뤄질 예정이다.

이를 위해 복지부, 과기부, 산업부 등에서는 신약, 의료기기의 미래 유망기술개발 및 질환 극복을 위한 범부처 협력 사업을 확대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R&D 강화에서는 디지털치료제, 전자약 등 첨단 융복합 기술 기반의 의료기기 개발 지원 확대가 주목된다. 치매 영역과 연관성이 높은 전자약 기술은 2022년부터 2026년까지 5년간 총 443억원의 대규모 투자가 단행된다. 

지난해 치매 영역에 투입된 예산의 주요 성과도 소개했다. 치매 예방·진단·치료 분야 연구개발 및 사업화가 성과로 선정됐다. 

선정된 세부 실적은 ▲치매 관련 SCI(E)급 학술지 등재 및 국내외 특허 출원, 시제품 개발 ▲집속형 초음파 자극기(NS-US200) 제13호 혁신의료기기 선정 ▲경도에서 중증도의 알츠하이머병 환자 및 중증도 이상의 알츠하이머병 환자 대상 임상 실시 ▲정신건강 R&D 기반 역량 강화를 위한 코호트 DB 구축 및 유지 ▲세계 최초 타우 양전자 단층촬영(PET) 기반 치매영상 분석 소프트웨어의 상용화 등이다. 

고령화에 따라 치매 유병률의 상승이 예상되는 만큼 치매 관련 예산의 증가세도 이어질 전망이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