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안심센터 정성평가…안하나, 못하나?
치매안심센터 정성평가…안하나, 못하나?
  • 조재민 기자
  • 승인 2019.02.14 17:0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현장 목소리 반영해 달라” vs “실질적 공무현장에 어려움 있어”

치매안심센터의 평가와 운영방안 등을 두고 논란은 여전히 현재 진행형이다. 

학회와 센터 근무자들은 정량평가를 지양하고 정성평가를 높여야 한다는 목소리를 내고 있지만 복지부는 현실적인 이유로 모두 수용하긴 쉽지 않다며 난색을 표하고 있다.

14일 치매안심센터의 평가방안과 운영 등을 두고 각계의 의견 차이가 계속되고 있다.

최근 개최된 치매 국가정책 토론회를 통해서도 현장과 복지부는 온도차를 보였다.

토론회에 참석한 치매학회 관계자들은 기존의 치매안심센터의 평가를 정량적 평가가 아닌 정성적 평가를 더욱 늘려야 한다는 입장 등을 강하게 피력했다.

하지만 복지부는 현재 256개 센터의 개소와 함께 정량적 평가를 진행하지 않을 경우 지역 안심센터들의 참여가 미흡할 수밖에 없어 이를 배제할 수 없다는 입장을 보였다.

복지부는 “정량적 평가만으로는 안심센터의 기능이 원활히 수행될 수 없다는 일부의 지적에 대해서는 알고 있다”며 “하지만 정량적 평가를 진행하지 않으면 참여도가 낮은 지방의 센터들의 운영을 이끌어 낼 수가 없다”고 항변했다.

즉, 지역의 치매안심센터들의 경우 정량적 평가를 배제할 경우 참여도 자체를 담보하기 어렵다는 현실적인 문제를 알아달라는 입장이다.

또 일부 전문가들의 의견을 반영해 정성적 평가를 항목에 추가를 검토했지만 지자체들이 난색을 표하는 경우가 많아 복지부 내부적으로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전언이다.

센터의 획일적인 운영에도 현장 근무자는 반대 입장을 보였다. 현재 복지부의 정책 방향이 오히려 잘 운영되고 있는 센터까지 질 저하를 시킬 수 있다는 이유다.

마포구 치매안심센터 장수미 팀장은 “현재 복지부가 치매안심센터 운영에 탄력적인 입장을 가졌으면 좋겠다”며 “256개 치매안심센터를 너무 획일적으로 운영하려다 보니까 여러 문제점이 발생한다”고 토로했다.

이어 “개인적으로 서울 지역의 치매안심센터가 환자들과 가족에게 높은 호응을 이끌어낸 이유는 수준 높은 대학병원 교수들의 참여 때문이라 생각한다”며 “서울지역의 센터들은 기능보강을 중점으로 진행하고 지방의 경우 그들의 부족분을 채울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현재 서울의 경우 지난 10년 전부터 치매지원센터를 통해 많은 노하우가 쌓였고 대학병원 위탁을 통해 환자와 가족들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었지만 직영체계 변화 등으로 오히려 이 같은 이점을 놓칠 수 있다는 지적이다.

복지부도 정성평가 반영이나 센터 운영의 획일화 방지 등 여러 의견을 고민하겠다는 입장을 밝히고 올해가 정책의 미래를 결정짓는 중요한 한해가 될 것이라는 의견도 내비쳤다. 

복지부 관계자는 “지난해 치매국가책임제 예산 1,000억 원의 집행률이 74%에 그쳐 비난을 받았다. 올해는 예산이 1,500억 원이 추가되면서 예산이 오히려 늘었다”며 “외부 의견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이고 지자체 등에서 효율적으로 사용할 방법을 적극 고려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향후 각 센터에서 진행하고 있는 특화사업들을 벤치마킹해 지역별로 널리 활용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며 “올해 한해가 치매국가책임제의 미래를 결정짓는 중요한 해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