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치매학회 양동원 이사장이 학회 등 전문가 단체를 통해 검증된 인지중재 프로그램을 활용할 경우 충분한 치매예방 효과를 거둘 수 있다는 의견을 내놨다.
다만 일부 치매안심센터나 요양시설에서 미검증 예방 프로그램의 활용이 만연해, 이를 관리할 별도 시스템의 필요성도 제안했다.
6일 대한치매학회 양동원 이사장은 보건복지부 국정감사 증인출석을 통해 인지중재치료 급여화와 치매예방 프로그램 검증의 필요성을 주장했다.
이번 양동원 이사장의 증인출석은 국민의힘 백종헌 의원의 요청으로 이뤄졌다. 고령화에 따라 치매예방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한 조치다.
경도인지장애 인구가 250만 명을 넘어선 시점에서 더 이상 치매의 전 단계인 경도인지장애를 방치할 수 없다는 위기감이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양 이사장은 학계 전문가들의 연구를 통해 검증된 인지중재치료을 활용할 경우 경도인지장애 단계에서도 치매예방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의견을 피력했다.
백 의원이 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2년 기준 1인당 치매관리 비용은 연간 2,016만 원이며, 이를 국가적 비용으로 환산하면 17조 3,000억 원에 육박한다.
이에 따라 치매 치료 및 진단 영역에서 획기적인 전환이 필요한 시점이라는 진단이다.
백 의원은 "경도인지장애 인구가 254만 명으로 추정됨에 따라 치매의 전 단계인 경도인지장애에 대한 특별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양 이사장도 백 의원의 발언에 적극적으로 공감하며, 경도인지장애 대한 사회적 경각심 확대와 인지중재치료 급여화를 시급한 과제로 꼽았다.
경도인지장애의 경우 치매 전환 가능성이 일반인에 비해 10배나 높기 때문에 적극적인 예방 정책으로 발병률을 줄이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의미다.
양 이사장은 "경도인지장애의 경우 효과적인 약물이 없어 관리가 어려움에도 사회적 관심과 지원은 부족한 실정이다"며 "경도인지장애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국가적 지원이 필수"라고 말했다.
이어 "치매안심센터나 시설 등에서 검증되지 않은 예방 프로그램이 활용돼 이를 관리할 방안이 필요하다"며 "급여화를 바탕으로 검증된 프로그램을 보급해야 치매예방 효과를 높일 수 있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또 경도인지장애에 대한 분류체계 문제도 지적했다. 경도인지장애가 정신과 질환을 의미하는 'F코드'로 분류됨에 따라 실손 보험지원 등이 이뤄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 같은 상황이 경도인지장애의 적극적인 치료를 막는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해석이다.
양 이사장은 "인지중재치료는 치매예방을 위해 꼭 필요한 프로그램이며, 급여화가 된다면 병·의원에서 활용도가 높아져 치매환자 감소에 직접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최근 치매학회가 한국갤럽과 함께 만 18세 이상 남녀 1,600명을 대상으로 경도인지장애에 대한 대국민 인식조사를 진행한 결과 응답자의 58%가 경도인지장애 용어를 들어본 적 없다고 답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