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선라 생물학적 성분 생산 ‘리머릭’에 총 20억 달러 투자
당뇨병 및 비만 치료제 마운자로·젭바운드 생산 ‘킨세일’에도 8억 달러
일라이 릴리(Eli Lilly and Company)가 최근 승인받은 알츠하이머병 치료제를 비롯해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당뇨병 및 비만 치료제의 생산 확대를 위해 아일랜드의 생산 시설 두 곳에 총 18억 달러(한화 약 2조 3,900억 원) 규모의 추가 투자를 단행한다.
릴리는 지난 12일(현지 시간) 성명을 통해 이같이 발표했다.
릴리가 개발한 항아밀로이드 항체 신약 ‘키선라(Kisunla, 성분명 도나네맙 Donanemab)’의 생물학적 성분은 아일랜드 리머릭(Limerick)에 있는 제조 공장에서 2026년부터 생산될 예정이다.
지난해 3월 리머릭에 10억 달러 규모의 투자 계획을 발표한 릴리는 또다시 10억 달러를 추가 투입하기로 발표하면서 키선라의 생산 능력 확보를 위한 공격적인 행보를 지속했다.
또 이번 투자로 리머릭에서 엔지니어, 과학자 등 고숙련 일자리 150개도 추가 창출해 총 450명의 직원을 고용할 계획이다.
릴리는 아일랜드의 또 다른 생산 기지인 킨세일(Kinsale)에도 신규 제조 시설을 구축하기 위해 8억 달러 규모의 투자를 집행할 예정이다.
킨세일 공장에서는 최근 선풍적인 인기로 공급이 부족한 당뇨병 및 비만 치료제 마운자로(Mounjaro)와 젭바운드(Zepbound)의 생산을 확대할 방침이다.
릴리는 2020년 이후 미국과 유럽에서 제조 시설을 건설하고 확장 및 인수하는 데 200억 달러 이상을 쏟았다.
관련기사
- 일라이 릴리, 도나네맙 후속 '타우 표적 알츠하이머 치료제' 실패
- 英 연구진 “레켐비·키선라, 효과 ‘낮고’ 부작용 ‘빈번’”
- 랜싯 치매 위원회가 본 ‘항아밀로이드 항체 치료제 논란’
- [DN 산업 브리핑] ETRI·일라이릴리·뷰노
- 10일 열리는 도나네맙의 FDA 자문위원회의, 허가될까?
- [칼럼] 도나네맙과 임상적 의미를 가지는 최소 효과
- 美 FDA, 내달 10일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도나네맙’ 허가 논의
- 日 후생노동성, 초기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도나네맙' 승인
- 국가임상시험지원재단, 아시아 최대 임상시험 콘퍼런스 ‘제10회 2024 KIC’ 개최
- 英 허가받은 ‘키선라’, 건보 적용은 ‘실패’...“효과 대비 비용 5~6배 높아”
- [CTAD 2024] 릴리 “키선라, 투여량 바꿨더니 ARIA-E 줄어”...임상 중 사망자도 나와
- 도나네맙 시판을 앞둔 일본의 현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