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1,500여 명 참석해 신약·임상 개발 지식·경험 공유
에자이, 릴리에서 기조 강연...신약 개발 노하우 전달
국가임상시험지원재단(이사장 박인석)은 보건복지부·식약처와 공동으로 개최하는 ‘제10회 2024 KoNECT-MOHW-MFDS 인터내셔널 콘퍼런스(KoNECT-MOHW-MFDS INTERNATIONAL CONFERENCE, 이하 KIC)’가 10월 29일(화)부터 31일(목)까지 3일간 서울드래곤시티(서울 용산구)에서 열린다.
2015년부터 시작해 올해 10회를 맞이한 '2024 KIC'의 주제는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의 통합: 혁신을 통한 신약개발의 진보’다.
KIC는 제약·바이오기업 개발자, 임상 연구자, 규제기관, 임상시험수탁기관 등 국내외 1,500여 명의 관계자가 참석해 신약개발·임상개발의 지식과 경험을 공유하는 아시아 최대 교모의 임상시험 콘퍼런스다.
올해는 치매 치료제(레켐비)를 개발한 에자이와 비만 치료제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일라이 릴리에서 기조강연을 맡았다.
또한 국내 정부 R&D 과제 지원 기관인 국가신약개발재단, 범부처재생의료기술개발사업단과 K-바이오 메가 펀드 운용사인 LSK 인베스트먼트 투자사가 모여 국내 제약·바이오 시장의 현황과 전망을 분석할 예정이다. 국내 바이오 기업의 과제선정 성공사례에 대해 다루는 기조 토크쇼뿐만 아니라 글로벌 규제 동향, AI와 빅데이터 등 글로벌 이슈를 다룬 강연이 진행될 예정이다.
콘퍼런스 기간 동안 제약·바이오 관련 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잡페어, 비즈니스 파트너링, 중국, 동남아시아, 사우디아라비아를 비롯한 아시아 연구자 워크샵 등 부대 프로그램도 진행된다.
박인석 국가임상시험지원재단 이사장은 “2024 KIC는 아시아 최대 규모 임상시험 콘퍼런스로서 한국 신약개발의 역사를 되짚고 미래의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며 “어려운 여건에서 국내 제약·바이오사가 겪는 주요 이슈 등을 다루고 신약개발 관계자들의 경험을 공유해 한국 신약 개발 역량을 증진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 英 연구진 “레켐비·키선라, 효과 ‘낮고’ 부작용 ‘빈번’”
- [AAIC] 아델, 타우 표적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비임상 결과 발표
- 미국 알츠하이머협회, 오는 25일까지 ‘뉴로사이언스 넥스트’ 콘퍼런스 개최
- 치매 치료제 ‘레켐비’, EU 이어 호주 자문위서도 ‘허가 거부’
- 전진숙 의원 “레켐비, 치명적 부작용에도 전문가 자문 없이 허가” 식약처 질타
- [단독] ‘세계 최초’ 치매 치료제도 거친 약심위, 레켐비는 ‘프리패스’
- 英 의학저널 “‘도나네맙 승인 권고’ FDA 자문위원, 개발사 릴리와 금전적 관계” 폭로
- 일라이 릴리, 아일랜드에 18억 달러 추가 투자...‘키선라’ 등 생산 확대
- 일라이 릴리, 도나네맙 후속 '타우 표적 알츠하이머 치료제' 실패
- ‘레켐비’에 제동 건 유럽의약품청 자문위...약심위조차 열지 않은 한국 식약처
- 레켐비, 홍콩서 세계 다섯 번째 보건당국 승인
-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도나네맙, FDA 승인...릴리 "1년 약제비 4451만원"
- 투자 혹한기 맞은 국내 바이오벤처...'생존 전략 모색' 머리 맞대
- 에자이 부회장, 2024 KIC에서 '알츠하이머 치료제 임상 개발' 기조 강연
- 불면증·우울증·불안증세 개선 해외직구식품 구매 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