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EL-Y01, 아세틸화 변형 라이신 280 위치 표적 단일 클론 항체 신약 포스터 발표
국내 바이오텍 아델이 알츠하이머 및 치매 분야 세계 최대 규모 학술대회에서 자사가 개발 중인 타우 표적 항체 치료제의 비임상 결과를 발표했다.
아델은 지난달 28일부터 8월 1일(현지 시간)까지 미국 필라델피아에서 열린 알츠하이머협회 국제 콘퍼런스(AAIC)에서 알츠하이머병 치료 신약 후보물질 ADEL-Y01의 포스터 발표를 진행했다고 6일 밝혔다.
아델과 오스코텍이 공동개발 중인 ADEL-Y01는 타우의 미세소관 결합부위(MTBR) 내 아세틸화 변형 라이신 280(acetylated K280)의 위치를 표적하는 단일 클론 항체 신약이다. 라이신 280은 알츠하이머병 등 신경퇴행성 뇌질환 병증으로 확인된다.
ADEL-Y01는 아세틸화된 타우를 인식하고 결합해 파종(seeding)과 응집(aggregation)을 억제하고 미세아교세포의 타우 제거를 향상한다.
이번 포스터에서는 ADEL-Y01의 미국 임상 1상 디자인 소개와 함께 글로벌 제약사에서 이미 개발했거나 개발 중인 타우 항체와 타우 단백질 파종 및 응집에 대한 억제력을 비교 연구한 결과를 발표했다.
바이오젠(Biogen), 애브비(AbbVie), 에자이(Eisai), 로슈(Roche) 등은 타우 관련 신약 개발에 대규모로 투자하고 있다.
회사 측은 “타우가 주목받는 이유는 아밀로이드 베타 표적 항체 신약들의 제한적인 성공과 아밀로이드 단백질과 타우 단백질이 알츠하이머병에 영향을 주는 시기에 차이가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아밀로이드 베타보다 늦게 나타나 축적되는 타우는 신경세포 내에서 기다란 형태를 유지하는 미세소관의 이음새 기능을 한다. 하지만 미세소관에서 떨어져 나간 타우는 파종과 응집으로 신경세포 기능을 무너뜨리고, 전파(Propagation)에 따라 다른 신경세포로 확산해 인지 저하 증상을 일으킨다.
타우 항체 개발에서 핵심은 적절한 표적 항원결정부위(epitope)를 파악하는 것이다. 항체의 낮은 뇌-혈관 장벽(BBB) 투과율을 고려하면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병리적 타우 단백질체를 표적하는 것이 중요하다.
회사 측은 “ADEL-Y01이 아세틸화 변형 라이신 280 위치(acetylated K280 site)를 표적해 신경세포의 독성과 인지장애 억제에 우수하다는 것을 여러 비임상 모델에서 확인했다”고 강조했다.
이어 “다른 제약사들이 표적하는 타우 변형 서열 위치에 비해 새로이 증명된 연구 결과”라며 “아세틸화 변형 라이신 280 위치를 포함한 항원결정부위가 타우 축적에 따른 병인에 더 큰 영향을 준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덧붙였다.
아델은 타우 항체 개발 외에도 ApoE4, 베타-2-마이크로글로불린(beta-2-microglobulin, β2m) 등의 단백질을 표적하는 신약 후보물질과 대식세포(Autophagy)를 활용한 표적 단백질 분해(Target Protein Degradation) 플랫폼 기술도 개발 중이며, 이번 학회에서 ApoE4, β2m 항체의 비임상 효능 결과도 공개했다.
- 오스코텍-아델, 치매치료제 공동연구개발 계약 체결
- ADEL-Y01 Targets Acetylated Tau in Alzheimer’s
- 범부처신약개발사업단, 9년간 치매약 개발에 7건 지원
- 치매약 개발에 후발주자들 가세…"대형사, 게 섯거라"
- 동아에스티 ‘DA-7503’ 임상 1상 승인...타우 표적 치매 치료제 개발 ‘박차’
- |CTAD 2022| 최초 타우 표적 치매약 'HMTM' 유효성 입증
- 최초 타우 표적 치매 신약 탄생 예고 "HMTM 언베일링"
- 아밀로이드·타우 표적 항체약 병용 시너지 낼까?
- '단독요법 혜택 적다?' 타우·아밀로이드 표적약 병용 돌입
- 타우 표적 백신 "알츠하이머 치료 패러다임 변화 예고"
- 타우 표적약 세모리네맙 임상 언박싱 '핵심 가설 흔들리나'
- 타우 표적 항체 신약 세모리네맙 "성공 혹은 실패"
- 타우 표적 항체약 세모리네맙 "유효성 결론 두달 뒤로"
- [치매 정복 나선 K-바이오텍] ④ 아델 윤승용 대표
- 연세대 김영수 교수 연구팀, 치매 유발 타우 단백질의 응집 기전 규명
- 국가임상시험지원재단, 아시아 최대 임상시험 콘퍼런스 ‘제10회 2024 KIC’ 개최
- 로슈, 항타우 항체 치료제 ‘베프라네맙’ 개발 포기...UCB에 권리 반환
- [ASPAC 2024] ASPAC 2024 개막, ‘3D 증후군의 더 나은 치료법' 조명
- 美·스웨덴 연구팀 “새 타우 바이오마커로 치매 조기 발견·치료 확률↑”
- 세계 치매 연구 콘퍼런스 ‘AAIC 2025’, 加 토론토서 개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