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 출신 자문위원 3명, 릴리로부터 직접 지급 또는 연구비 받은 사실 드러나”
제약사와 자문위원 간 이해 상충 의혹...아두카누맙, 레카네맙 등도 승인 논란
올해 미국 식품의약품청(FDA)에 초기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도나네맙(Donanemab, 제품명 키선라 Kisunla)의 승인을 권고한 자문위원회 소속 위원들이 이 약물의 개발사인 일라이 릴리(Eli Lilly)로부터 재정적 지원을 받은 사실이 확인돼 이해 상충의 문제가 드러났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영국의학협회(BMA)의 자회사인 BMJ 그룹에서 발행하는 영국의학저널 ‘The BMJ’은 25일(현지 시간)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보고서 <Donanemab: Conflicts of interest found in FDA committee that approved new Alzheimer’s drug>을 발표했다.
이 보고서는 “도나네맙은 이전에 승인된 두 가지 알츠하이머병 치료제(아두카누맙, 레카네맙)와 마찬가지로 효능과 복용 환자 중 사망자 수뿐 아니라 FDA 자문위원회 위원들 사이에서 제약사와의 금전적 관계에 대한 의문에 직면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BMJ는 도나네맙의 승인을 권고한 세 명의 자문위원(의사)이 제조업체인 릴리로부터 직접 지급 또는 연구비를 받은 사실을 발견했다”고 폭로했다.
말초·중추신경계 약물 자문위원회(PCNS, 이하 자문위)는 지난 6월 10일(현지시간) 열린 회의에서 자문위원 11명의 만장일치로 도나네맙의 승인을 FDA에 권고하기로 결정했다. 이들은 도나네맙이 초기 알츠하이머병 환자의 질병 진행 속도를 늦추는 데 효과적이며, 약물의 위험성보다 이익이 더 크다고 판단했다.
이후 FDA는 지난 7월 2일 도나네맙을 승인했다. 자문위가 승인을 권고한 지 한 달도 채 안 돼서다. 앞서 릴리는 지난해 1월 FDA에 도나네맙의 신속 승인을 신청했지만, FDA는 더 많은 장기 안전성 데이터가 필요하다는 이유로 이를 반려했다.
BMJ는 ▲공개 데이터베이스 ‘OpenPayments’ ▲위원들의 이력서 ▲출판된 논문의 공개 내용 ▲구글(Google) 특허 소유권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2017년부터 지난해 말까지 자문위원들이 자문 및 강연료로 최대 6만 2,000달러(한화 약 8,200만 원)와 연구 보조금으로 최대 1,050만 달러(약 140억 원)를 받은 사실을 확인했다.
이뿐만이 아니다. BMJ의 보고서에 따르면, 이들 외에도 두 명은 릴리의 알츠하이머병 혈액 검사 개발 파트너인 로슈(Roche)와 관계를 맺었고, 다른 두 명은 아밀로이드 항체에 대한 특허를 보유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 의사는 얀센(Janssen)으로부터 다른 알츠하이머병 치료제에 대한 연구 자금을 지원받았다.
BMJ는 “이러한 이해 충돌은 한 계열의 약물이 공통된 작용 메커니즘(예를 들면 아밀로이드 제거)으로 실패하면 해당 계열의 모든 약물과 검사가 규제 당국으로부터 거부될 위험에 처할 수 있기 때문에 관련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번 보고서는 이전 항아밀로이드 항체 치료제까지 거슬러 올라갔다.
BMJ는 바이오젠(Biogen)과 에자이(Eisai)가 개발한 세계 최초의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아두카누맙(Aducanumab, 제품명 아두헬름 Aduhelm)’과 레카네맙(Lecanemab, 제품명 레켐비 Leqembi)의 사례를 들어 논란을 짚었다.
바이오젠·에자이는 2020년 7월 FDA에 아두카누맙의 승인 신청을 냈으나 의료계를 중심으로 임상적 근거가 부족하다는 반박이 제기됐다. 특히 자문위 회의에서 참석 위원 11명 중 단 1명(기권)을 제외한 나머지가 반대(8명)하거나 불확실(2명)하다는 의견을 밝히며 반대했다.
하지만 결국 2021년 6월 7일 ‘가속 승인 프로그램(Accelerated Approval Pathway)’을 통해 아두카누맙의 시판이 조건부 신속 승인됐고, 이에 항의한 자문위원 3명이 사임하기도 했다.
또 보고서는 두 번째 약물인 바이오젠·에자이의 레카네맙 역시 이해 상충 의혹에서 벗어날 수 없다고 날을 세웠다.
보고서에 따르면, FDA는 레카네맙을 검토할 자문위에 4명의 의사를 새로 임명했는데, 이들이나 소속 기관이 2017년부터 지난해 말까지 제조업체와 재정적 관계를 맺은 적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레카네맙은 지난해 6월 자문위원 6명의 만장일치로 승인 권고를 받았고 다음 달인 7월에 FDA 승인을 받았다.
Primary Source
Lenzer, J., & Brownlee, S. (2024). Donanemab: Conflicts of interest found in FDA committee that approved new Alzheimer's drug. BMJ (Clinical research ed.), 386, q2010. https://doi.org/10.1136/bmj.q2010
- 英 연구진 “레켐비·키선라, 효과 ‘낮고’ 부작용 ‘빈번’”
- 랜싯 치매 위원회가 본 ‘항아밀로이드 항체 치료제 논란’
- ‘레켐비’에 제동 건 유럽의약품청 자문위...약심위조차 열지 않은 한국 식약처
-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도나네맙, FDA 승인...릴리 "1년 약제비 4451만원"
- [단독] 치매 치료제 레켐비, 중앙약심위 안 거쳐...식약처 “필수 절차 아니다”
- 안전성 논란에도...美 FDA 자문위,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도나네맙’ 승인 권고
- 10일 열리는 도나네맙의 FDA 자문위원회의, 허가될까?
- [칼럼] 치매의 묘약, 알츠하이머가 부르는 아리아
- [칼럼] 알츠하이머 신약은 메시아가 될 수 있을까?
- [기자의 눈] 알츠하이머병 치료 위해 국내 승인된 레카네맙, 누구를 위한 승인일까?
- 바이오젠 결국 ‘아두헬름’ 판매 중단, 17년의 개발 여정 마감
- [칼럼] 레카네맙은 아두카누맙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을까?
- [칼럼] 아두카누맙·레카네맙·도나네맙의 효능: 임상에서 체감할 수 있을까?
- [단독] ‘세계 최초’ 치매 치료제도 거친 약심위, 레켐비는 ‘프리패스’
- 이주영 의원 “퇴행성 뇌질환 신약, ‘급여 차등화’로 접근성 높여야”
- [칼럼] 레켐비의 명암
- 치매 치료제 ‘레켐비’, EU 이어 호주 자문위서도 ‘허가 거부’
- 국가임상시험지원재단, 아시아 최대 임상시험 콘퍼런스 ‘제10회 2024 KIC’ 개최
- [레켐비 졸속 허가 의혹] 식약처장 해명의 모순...‘위중성’ 고려했다면서 자문위는 ‘패싱’
- 英 허가받은 ‘키선라’, 건보 적용은 ‘실패’...“효과 대비 비용 5~6배 높아”
- [기자의 눈] 아두헬름에서 레켐비로 이어진 졸속의 역사
- NYT “레켐비·키선라, 유전적 취약성에도 임상 참여...결과 안 알려”
- 에자이 부회장, 2024 KIC에서 '알츠하이머 치료제 임상 개발' 기조 강연
- [CTAD 2024] 릴리 “키선라, 투여량 바꿨더니 ARIA-E 줄어”...임상 중 사망자도 나와
- 도나네맙 시판을 앞둔 일본의 현황
- FDA 인증 오해 말아야...‘허가’, ‘승인’, ‘등록’의 차이점
- 일라이 릴리 "中, 초기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키선라’ 승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