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심장협회저널 게재, 커피 습관이 심방세동 노인의 인지 기능 저하로부터 뇌를 보호

pexels.com
pexels.com

 

하루 5잔 이상의 카페인 함유 커피를 마시는 것이 심방세동(심방에서 발생하는 빠른맥의 형태로 불규칙한 맥박을 일으키는 부정맥 질환)이 있는 노인의 인지능력 향상과 관련이 있다는 연구가 미국심장협회저널(Journal of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에 게재됐다.

심방세동은 성인에게 흔한 심장 질환으로 인지장애의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규칙적인 커피 섭취가 건강한 성인의 인지 기능 유지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밝혀졌지만, 건강이 취약한 환자의 인지 기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는 상대적으로 불분명했다.

스위스 바덴 칸톤 병원, 취리히대학병원, 바젤대학병원, 취리히대, 베른대학병원 공동 연구팀이 스위스 심방세동 코호트 연구(Swiss Atrial Fibrillation Cohort Study, Swiss-AF)로 진행했다. 심방세동을 앓고 있는 평균 73세 노인을 대상으로 커피 섭취와 인지능력 사이의 연관성을 밝힌 것으로 연구팀은 스위스의 심방세동 환자 2,413명(여성 27%)을 조사했다. Swiss-AF는 스위스의 모든 언어 영역에 걸쳐 14개 센터가 세워져 있고, 최소 8년 동안 추적 관찰한 심방세동 데이터를 분석했다.

연구팀은 커피를 섭취하는 것이 심방세동의 위험 인자인 인지 장애를 예방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인지 테스트를 평가했으며, 알츠하이머병과 심방세동은 전신 염증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염증 지표도 분석했다. 데이터에는 인지 테스트 결과와 지난 1년간 커피 소비량에 따른 커피 소비량 보고를 포함했다.  

결론적으로 인지 테스트 점수가 높게 나온 사람은 커피 소비량이 높은 대상자와 관련이 있었다. 커피를 가장 많이 마시는 사람(하루 5잔 이상)은 가장 적게 마시는 사람(하루 1잔 미만)보다 인지 연령이 6.7년 젊게 나타났다. 한편, 염증 지표는 매일 커피를 가장 많이 마신 참가자 그룹이 가장 적게 마신 참가자 그룹에 비해 20% 이상 낮았다.

매일 여러 잔의 커피를 마시면 인지 능력이 향상되고 심방세동(AFib)이 있는 성인의 전신 염증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커피를 마시는 사람의 인지 점수는 커피를 마시지 않는 사람에 비해 처리 속도, 주의력 및 협응력이 11% 향상됐다.

텍사스대학교 사우스웨스턴 메디컬 센터의 내과 교수 호세 A. 조글라(José A. Joglar) 박사는 보도자료를 통해 “다른 연구에서도 커피가 전반적으로 인지 기능을 향상시킨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심방세동 환자 집단에만 국한된 것은 아니다. 커피가 장기적인 인지 기능 저하를 예방한다고 단정할 수는 없다. 커피가 심방세동을 악화시키지 않는 것으로 보이므로 일부러 커피를 중단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커피를 마시기 시작하는 것이 심방세동을 예방하거나 장기적인 인지 기능 저하를 예방한다고 할 수는 없다”고 전했다.

한편 미국의 공식 식단 지침에 따르면 하루에 8온스(약 236ml) 커피 3잔에서 5잔을 마시는 것이 건강에 좋은 것으로 간주되지만, 이는 블랙 커피에만 적용한 것이다. 미국심장협회는 라떼와 마끼아또와 같은 인기 있는 커피 음료는 칼로리, 첨가당 및 지방이 많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Source
Barbagallo M, Springer A, Vanetta C, Allemann M, Lee P, Saeedi S, Aeschbacher S, Luciani M, Bonati LH, Moschovitis G, Scheu V, Rutishauser J, Kobza R, Di Valentino M, Meyre PB, Rodondi N, Conen D, Kühne M, Osswald S, Beer JH; Swiss‐AF investigators. Coffee Consumption Correlates With Better Cognitive Performance in Patients With a High Incidence for Stroke. J Am Heart Assoc. 2024 Dec 14:e034365. https://doi.org/10.1161/JAHA.124.03436

저작권자 © 디멘시아뉴스(dementia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