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자 및 부양가족 삶의 질 저하 방지와 의료비 증가 억제효과 주장

치매국가책임제 실시를 앞두고 치매 가족상담료 수가 신설 목소리가 어느때 보다 높다. 그렇다면 의료계는 왜 치매 가족 상담료 신설을 강력히 주장할까? 

현재 장기노인요양보험 등을 통해 치매 복지 측면은 시스템을 갖춰놓고 치매와 연관된 병원 내 의료시스템 지원은 없다는 게 의료계 지적이다.

사실상 치매 환자에 투입되는 노력에 비해 지나치게 돈이 되지 않는다는 이야기다. 

13일 의료계에 따르면 치매국가책임제 실시에 앞서 치매 가족상담 수가 신설이 이뤄져야 한다는 의견이 다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신경과의사회, 신경과학회, 노인의학회 등 다수 의료단체가 치매 가족 상담료 중요성을 연이어 주장하며 수가 신설에 목소리를 내고 있다.

치매는 기타 질환보다 집중적이고 장기적인 돌봄을 필요해 환자 가족은 부양 부담을 크게 느끼기 때문에 가족 전체에 영향을 미치고 돌봄에도 부정적 영향을 준다는 견해다.

이로 인해 우울증, 무기력감, 만성 피로 분노와 같은 정신 문제 발생 뿐 아니라 일상에 흥미를 잃고 자신의 존재를 거부하는 등 주 부양자 문제는 치매 환자 치료의 한 부분이라는 것.

또 주 부양 가족들의 삶의 질 저하로 치매 관련 의료비 증가, 보호 비용, 돌봄인의 건강저하 등 새로운 문제들이 일어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신경과학회는 “치매환자 진료시 보호자가 치매 환자 간호 부담으로 인한 역경을 극복하고 긍정적 정서를 갖고 현실에 잘 적응해 환자 부양의 질을 높일 수 있도록 가족을 위한 맞춤형 상담 및 체계적인 교육을 함께 실행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신경과학회는 치매가족 상담수가가 신설될 경우 치매 환자 보호자를 위해 각 시기별 세분화된 교육 프로그램도 진행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초기의 경우 치매에 대한 전반적인 교육, 약물치료 유지의 중요성 등이며, 중기는 환자의 이상행동에 대한 대처 교육, 말기는 임종을 어떻게 준비할 것인가, 식사를 못할 경우 영양위창냄술을 할 것인지 등을 교육과 상담으로 교육할 수 있다.

더불어 치매학회 학술대회에서 발표된 연구결과에 의하면 의사로부터 치매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을 받고 환자를 잘 알고 있는 임상심리사로부터 총 4회의 상담요법을 받은 환자 보호자들은 그렇지 않은 보호자에 비해 우울감과 부양 부담이 통계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가족 상담수가 신설 가능성은 높은 것으로 보인다.

최근 개최된 병원협회 국제심포지엄을 통해 복지부 임인택 노인정책관은 요양병원 등 별도의 치매 가족상담수가 신설 계획이 있음을 시사하고 진행중이라고 밝혔다.

치매 환자와 돌봄 가족에 대한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만큼 가족 상담 수가 신설에 대한 당위성도 힘을 얻고 있는 만큼 속도감있는 정책 반영이 중요해 보인다.

디멘시아뉴스 조재민 기자(jjm5352@dementianews.co.kr) 

저작권자 © 디멘시아뉴스(dementia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