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밀로이드베타 축적과 타우 인산화 감소
항암제 이브루티닙(Ibrutinib)에서 알츠하이머병 치료-예방효과를 확인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되면서 향후 활용방안이 주목된다.
이브루티닙을 활용한 동물실험한 결과 알츠하이머병의 핵심 병리인자인 아밀로이드 베타 축적과 타우 인산화 감소에 따른 것이다.
한국뇌연구원은 허향숙 박사와 경북의대 석경 교수 공동 연구팀이 진행한 연구를 통해 이같은 사실을 규명했다고 17일 밝혔다.
대표적 퇴행성 뇌질환인 알츠하이머병은 아밀로이드 베타의 축적물인 ‘노인성 반’과 과인산화된 타우의 응집체인 ‘신경섬유얽힘’을 특징으로 높은 유병률에 비해 명확한 병리기전과 근본적인 치료방법이 아직 없는 실정이다.
이브루티닙은 암세포만 골라 사멸하는 특수 표적 항암제로, 진행성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 등 림프종 환자에게 사용되고 있다. 연구를 통해 다양한 염증모델에서 염증억제 효과가 보고 사례가 있다.
연구팀은 이브루티닙이 베타 아밀로이드 생성 경로를 촉진해 아밀로이드 플라크를 줄이고, CDK 인산화 활성을 조절해 타우 병변을 조절했다.
이를 통해 이브루티닙이 기억력, 학습력과 연관된 신경돌기 생성 증강이 PI3K 인산화에 의존적임을 밝혀낸 것이다.
이번 연구는 기존 약물로 새로운 타겟을 설정하는 신약 재창출 기법으로 알츠하이머병 치료제로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설명이다.
허향숙 박사는 “알츠하이머의 여러 병리 기전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는 멀티 타겟 약물로 이브루티닙의 가능성을 확인했다"며 "후속 연구로 퇴행성 뇌질환 병리기전 조절 효과를 지속적으로 연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논문>
Lee HJ, Jeon SG, Kim J, Kang RJ, Kim SM, Han KM, Park H, Kim KT, Sung YM, Nam HY, Koh YH, Song M, Suk K, Hoe HS. Ibrutinib modulates Aβ/tau pathology, neuroinflammation, and cognitive function in mouse models of Alzheimer's disease. Aging Cell. 2021 Mar;20(3):e13332. doi: 10.1111/acel.13332. Epub 2021 Mar 11. PMID: 33709472. https://doi.org/10.1111/acel.13332
- 한국뇌연구원, 딥러닝 기반 변이체-인공지능 활용 치매 예측
- 성인 뇌 기억유지 방식 최초 규명...치매 치료 등 기대
- 빅데이터 구축…치매 치료와 관리 등 다분야 활성화
- 뇌연구원, AI-생체정보 활용 치매초기 분자기전 예측 성공
- 고령 치매환자일수록 코로나19 감염 가능성 증가
- 알츠하이머 질환의 새로운 마커 유전자 발견
- 내일을 준비하는 뇌연구 공동포럼 개최
- 대구경북첨단의료재단, 알츠하이머 혁신신약 기술이전
- 통신3사 치매관리 분야 격돌?…디지털 헬스케어 경쟁
- 한국뇌연구원-포스백스, 알츠하이머병 예방 백신 개발 추진
- 백혈병 잡는 항암제가 알츠하이머 신약으로? TKI 주목
- 한국뇌연구원-파마코렉스, 치매치료제 기술이전 협약
- MEK 억제 표적항암제 "신경세포 자가포식 활성화" 알츠하이머병 넘본다
- 中 연구팀 “알츠하이머병과 암은 역(逆)관계...메타분석 증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