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월부터 시행 중인 '실거주지 신청제도' 확대 적용

보건복지부는 관할 주소지가 멀어 관련 복지급여을 신청할 수 없을 때 실거주지에서 신청할 수 있는 ‘실거주지 신청제도’를 30개로 확대했다.

거주지를 옮겨서 출산한 여성이 영유아보육료, 가정양육수당, 부모급여 등을 신청하려고 주민등록 주소지 행정기관을 찾지 않아도 된다. 기초연금, 가사간병방문지원 등의 사회보장급여 또한 실거주지에서 신청할 수 있다.

실거주지 신청제도’는 올해 1월 13개로 시작해 단계적으로 30개 사회보장제도에 확대 적용 중이다. 25일 보건복지부는 국무조정실의 적극행정 우수과제로 선정된 실거주지 신청제도가 대국민 온라인 투표를 통해 베스트 사례 중 하나로 인정받았다고 밝혔다.

 

실거주지 신청제도 30개 급여 / 보건복지부
실거주지 신청제도 30개 사회보장급여 내역 / 보건복지부

실거주지 신청제도의 시행으로 이동이 잦거나, 장애, 생활고 등 불가피한 사유로 관할 주소지로 이동이 어려울 때 실거주지에서 급여 신청으로 복지 혜택을 누릴 수 있어 복지 접근성이 강화됐다. 또한 전국 어디서든 사회보장급여 신청이 가능해져 급여 신청자의 편의성이 크게 개선됐으며, 관할 주소지 제한 등으로 실제 거주지에서는 복지급여를 신청할 수 없어 발생하는 복지 사각지대를 해소했다.

보건복지부 배형우 복지행정지원관은 “실거주지 신청제도는 국민들의 실질적인 복지혜택을 강화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라며, “앞으로도 국민 중심의 복지 행정을 실현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보건복지부 로고
보건복지부 로고

 

관련기사
저작권자 © 디멘시아뉴스(dementia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