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간과 방향 처리가 빈번하게 요구되는 직업의 AD 사망률 비교 연구
해마와 연관된 알츠하이어병에서만 사망률 패턴 보고

복잡한 도시에서의 이동과 응급상황에서 길을 찾는 택시와 구급자 운전 직업군은 타 직업군에 비교해 알츠하이머병(AD) 사망률이 낮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미국 하버드대 의대 매사추세츠 종합병원·브리검여성병원 연구진이 사망한 사람들의 직업에 관한 국가 데이터를 이용해 443개 직업 종사자의 알츠하이머병으로 인한 사망률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연구는 지난 12월 출간된 영국의학저널(BMJ)에 실렸다.

 

pexels.com
pexels.com

 

해마와 알츠하이머병 진행

이전 연구에 따르면 런던의 택시 기사들은 기억과 학습을 담당하는 뇌 영역인 해마의 기능이 강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해마는 기억력과 공간 개념을 관장하며, AD 초기부터 손상이 일어나는 뇌 영역이다. 연구진은 택시와 구급차같이 빈번한 공간 처리가 필요한 직업에서 나타나는 개인의 AD 위험성을 조사해 보는 건 가치 있다는 가설을 세웠다.

 

연구 내용

연구진은 인구 기반 미국 사망률 데이터를 활용해 택시 및 구급차 운전자의 알츠하이머 관련 사망률을 평가했다.

사망한 성인의 사망률 데이터는 2020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의 국가생명통계시스템에서 입수했다. 이 데이터에는 443개의 직업군을 포함했으며, 연구진은 매일 예측할 수 없는 광범위한 운전을 하는 구급차와 택시 운전기사에 대한 데이터에 주목했다.

더욱 구체적인 비교 그룹을 위해 항공기 조종사, 버스 운전사, 선박 선장도 고려했다. 결과 변수는 각 직업군에서 AD가 기저 사망 원인인 사망자의 비율이다.

 

연구 결과

직업 정보를 공개한 총 8,972,221명의 사망자를 확인했다. 구급차 운전자와 택시 운전자의 가장 낮은 사망 연령은 각각 64.2세와 67.8세였다.

남녀가 고르게 종사한 버스 운전사를 제외하고는 주로 남성이 이러한 직종에 종사하고 있었으며, 항공기 조종사는 교육 수준이 높았고, 다른 항해 직종은 고등학교 이하의 학력을 가진 경우가 더 많았다.

인지 회복력 비교에서 조종사나 버스 운전과 같은 운송 직업은 익숙한 경로만을 운행하기 때문에 알츠하이머에 대해 동일한 보호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전체 연구 참여자 중 약 4%가 AD가 근본적인 사망 원인으로 확인됐다. AD 관련 사망의 비율은 택시와 구급차 운전자의 경우 각각 1.03%와 0.74%로 버스 운전사, 조종사, 선박 선장의 각각 3.11%, 4.57%, 2.79%에 비해 낮았다. 평균 사망 연령이 비슷한 택시 및 구급차 운전자의 경우 다른 직종에 비해 AD 관련 사망률이 낮았다.

민감도 분석은 60세 이상에 사망한 개인과 AD가 사망의 기저 또는 기여 원인으로 언급된 개인으로 샘플을 제한해 수행했다. 이러한 분석에서 택시 및 구급차 운전자는 AD 사망률이 가장 낮았다.

운전 수요가 적은 다른 교통 관련 직종에서는 AD 사망률이 낮은 패턴이 나타나지 않았다. 443개 직업 중 버스 운전사는 263위, 선박 선장은 23위, 항공기 조종사는 4위를 차지했다.

혈관성 치매와 상세 불명의 치매를 고려했을 때는 택시와 구급차 운전사의 낮은 알츠하이머병 사망률 패턴은 없었다. 이 관찰은 택시 및 구급차 운전자의 해마가 알츠하이머병 사망률을 낮추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결론

이 연구 결과는 택시 및 구급차 운전과 알츠하이머병 관련 사망률 사이의 잠재적 관계에 대한 새로운 통찰력을 제공한다. 그럼에도 공간 인지 작업이 필요한 특정 직업이 알츠하이머병 사망률에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어떤 인지 활동이 알츠하이머병을 예방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Source
Patel, R. V., Liu, M., Worsham, C. M., & Jena, A. B. Alzheimer’s disease mortality among taxi and ambulance drivers: population based cross sectional study. BMJ 2024; 387 doi: https://doi.org/10.1136/bmj-2024-082194

관련기사
저작권자 © 디멘시아뉴스(dementia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