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 노인 실종 증가에도 이용률 저조
“배회감지기 홍보 강화 및 급여 제품 확대 추진”

정기석 국민건강보험공단 이사장 / 국회 영상회의록시스템
정기석 국민건강보험공단 이사장 / 국회 영상회의록시스템

최근 몇 년 새 치매 노인 실종 사건이 급증하는 가운데, 국민건강보험공단(이하 건보공단)이 지난해 국정감사의 지적을 수용해 배회감지기 보급 확대에 적극적으로 나설 계획이다.

건보공단은 지난 7일 공시한 ‘2024년도 국정감사결과 시정 및 처리 요구사항에 대한 처리결과보고서’에서 이 같은 내용을 밝혔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는 올해 1월 발표한 ‘2024년도 국정감사 결과보고서’에서 “치매 노인에 대한 실종신고 건수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을 고려해 배회감지기 급여 이용 활성화 및 신규 배회감지기 급여제품 확대를 위한 방안을 마련할 것”을 건보공단에 요청했다.

보건복지부에도 “배회감지기가 필요한 치매 노인이 배회감지기를 부담 없이 대여·구매할 수 있는 방안과 재정을 통한 보급 확대 계획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배회감지기는 치매 어르신 등 배회 성향이 있는 노인의 실종을 예방하기 위한 복지용구로, 위치 추적 기능이 있는 GPS형과 이탈을 감지하는 매트형으로 나뉜다.

건보공단은 현재 장기요양급여를 통해 배회감지기 이용을 지원하고 있다. 일반 대상자는 제품가의 15%를 부담하며, 감경대상자(9%)나 의료급여수급자(6%)에게는 더 낮은 부담률이 적용된다. 장기요양수급자는 장기요양인정서, 개인별 장기요양이용계획서, 복지용구 급여확인서를 지참해 복지용구사업소에서 계약을 맺고 이용할 수 있다.

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
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

배회감지기는 실종자 조기 발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장종태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지난해 경찰청에서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치매 환자의 실종 신고 건수는 2019년 1만 2,131건에서 2023년 1만 4,677건으로 21% 증가했다.

같은 기간 실종자 발견까지 걸린 평균 시간도 8.0시간에서 8.2시간으로 늘었다. 반면에 배회감지기를 활용하면 실종자 발견 시간이 1시간 이내로 단축될 수 있다.

하지만 배회감지기 이용률은 여전히 저조하다. 2019년부터 2023년까지 장기요양보험 5등급 및 인지지원등급 수급자의 배회감지기 이용률은 4.6%에서 2.9%로 감소했다. 이에 따라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건보공단의 ‘등급·지역별 배회감지기 이용현황’ 자료에 따르면, 올해 1월 지급 기준 장기요양 수급자 중 배회감지기를 사용하는 인원(GPS형 및 매트형)은 2,331명이며, 월 지급액은 약 3,322만 원이다.

건보공단은 배회감지기 급여 이용 활성화를 위해 보험료 고지서 활용 안내나 수급자 대상 문자 발송 등 홍보를 강화할 계획이다.

또한 복지용구사업소를 대상으로 배회감지기 취급 독려 및 관리 방법 등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고, 건보공단의 배회감지기 급여 제공 자료와 중앙치매센터의 조호물품 자료를 상호 연계할 방침이다.

아울러 공보공단은 올해부터 배회감지기 급여 제품을 추가로 확대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디멘시아뉴스(dementia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