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통계 집계 이후 가장 많아...전체 실종자 중 5명당 1명꼴
국내도 실종 신고 1만 4천명대...지자체, 치매 노인 실종 대응 훈련

곡성군 제공
곡성군 제공

 

인구 고령화가 극심한 일본에서 지난해 치매 환자 실종자 수가 1만 9,000명이 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달 일본 경찰청 생활안전국이 발표한 ‘2023년 실종자 상황’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경찰에 실종 신고가 접수된 인원 수는 총 9만 144명으로 조사됐다. 이는 2020년 이후 3년 연속 증가한 수치다.

이 중 21.1%를 차지하는 1만 9,039명이 치매에 걸렸거나 치매 환자로 의심되는 실종자로 확인됐다. 5명 중 1명꼴이 치매 관련 실종자인 셈이다.

일본 내 치매 관련 실종자는 통계를 시작한 2012년 이후 가장 많은 수를 기록했다. 2014년 1만 783명이던 치매 관련 실종자는 이후에도 계속 늘면서 ▲2020년 1만 7,479명 ▲2021년 1만 7,565명 ▲2022년 1만 8,709명 등으로 꾸준히 증가했다. 최근 3년 동안 매년 전체 실종자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20% 초반대를 유지하고 있다.

연령별로 살펴보면 지난해 치매 관련 실종자 가운데 가장 많은 수가 80세 이상(1만 1,224명)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체 실종자 중 12.5%로, 치매 관련 실종자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절반 이상인 59%를 기록했다.

뒤를 이어 ▲70대 6,838명(35.9%) ▲60대 826명(4.3%) ▲50대 140명(0.7%) 순으로 70대 이상이 대부분이었다.

 

일본 경찰청
치매 관련 실종자 수 추이 / 일본 경찰청

 

또 지난해 소재지가 파악된 치매 관련 실종자 중 경찰이나 신고자 등으로부터 확인된 사람은 1만 8,221명이다. 사망한 것으로 확인된 실종자 수는 553명이었다.

소재가 확인된 사람 가운데 74%(1만 3,517명)는 신고 접수 당일 소재가 파악됐고, 24.5%가 2~3일 이내에 확인됐다. 하지만 사망자 가운데 확인에 1년 이상 걸린 사람도 10명에 이른다.

국내에서도 치매 관련 실종자 수가 빠르게 늘고 있다. 경찰청에 접수된 실종 치매 환자 수는 2017년 1만 308명에서 2019년 1만 2,479명, 2022년 1만 4,527명에 달했다.

최근 경기 안성시 한 야산에서 길을 잃은 70대 치매 환자가 소방 당국과 경찰의 공동 수색과 휴대전화 위치 추적으로 119 신고 후 3시간 만에 구조되기도 했다.

안타까운 일도 발생하고 있다. 지난달에는 경기 연천군 한 야산에서 70대 치매 환자가 가족의 신고와 경찰의 수색에도 실종된 지 나흘 만에 숨진 채 발견됐다.

 

치매환자 실종 예방 및 대응법 안내 리플릿 / 중앙치매센터
치매환자 실종 예방 및 대응법 안내 리플릿 / 중앙치매센터

 

향후 치매 환자 관련 실종 사건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올해 들어 전국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지역사회와 함께 치매안심센터를 중심으로 대응 모의훈련을 진행하고 있다. 이 훈련은 치매 노인이 실종된 상황을 가상으로 설정한 뒤 사건 발생 대응 5단계(▲신고 ▲상황 전파 ▲수색 ▲발견 ▲건강 상태 확인 및 보호자 인계)에 따라 참가자들이 실전처럼 연습하는 방식이다.

중앙치매센터는 ▲국민건강보험공단 복지용구 배회감지기 ▲배회 가능 어르신 인식표 ▲경찰청 지문 등 사전 등록 ▲치매 체크 앱 배회감지서비스 등 다양한 치매 환자 실종 예방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치매 환자 가정의 현관문에 도어벨이나 동작 감지 센서를 설치하거나 잠금장치 대신 주변 색상이나 디자인을 바꿔 문을 은폐하는 방법도 소개했다.

source : https://www.npa.go.jp/publications/statistics/safetylife/yukue.html

관련기사
저작권자 © 디멘시아뉴스(dementia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