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65세 이상 인구 중 알츠하이머병 환자 약 720만 명 추산
의료 접근성 불균형...간병 인력난 심화에 ‘그레이 마켓’ 의존도 증가
가족 간병인 1,200만 명 달해...경제적·심리적 부담 ‘이중고’

Alzheimer's Association
Alzheimer's Association

고령화에 따른 치매 환자 급증에 따라 미국 내 치매 전문 의료진과 간병 인력 부족 사태가 갈수록 심각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30일 미국 알츠하이머협회(Alzheimer's Association)의 연례보고서인 ‘2025 Alzheimer's Disease Facts and Figures’에 따르면, 올해 65세 이상 미국인 약 720만 명이 알츠하이머병을 앓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 가운데 75세 이상 후기 고령자가 74%를 차지하며, 전체 환자의 2/3가 여성일 것으로 조사됐다.

인구 구조 변화로 치매 환자 수는 더 빠르게 늘 것으로 관측된다. 5년 후인 2030년까지 미국 베이비붐세대(1946~64년생)가 모두 노인 세대에 편입하면서 환자도 급격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2050년에는 65세 이상 알츠하이머병 환자가 약 1,270만 명에 달할 것으로 추산됐다.

하지만 전문 의료진과 돌봄 인력의 공급은 수요에 비해 턱없이 부족할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보고서에서는 노인병 전문의(geriatrician)의 경우 2050년까지 약 1만 8,142명이 필요하지만, 지난 10년간 7,000명대 수준에 머물러 있다고 지적했다.

지역 간 의료 접근성 격차도 심각한 문제로 제기됐다. 2021년 기준으로 코네티컷, 워싱턴 D.C. 등은 2050년 예상 환자를 감당할 수 있는 수준의 노인병 전문의를 보유하고 있지만, 켄터키, 미시시피 등 5개 주는 현재보다 최소 3배, 아이다호와 오클라호마에서는 최소 4배를 더 확보해야 할 것으로 분석됐다. 미국 보건인력분석센터(NCHWA)는 신경과 전문의 부족 현상도 2037년까지 지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Alzheimer's Association
Alzheimer's Association

특히 지역사회에서 치매 환자와 첫 접점이 되는 일차 진료의(Primary Care Physician, PCP)의 역량과 여건이 미흡한 점도 문제로 드러났다. 치매 조기 진단은 대부분 일차 진료 기관에서 이뤄지지만, 실제 알츠하이머치매 환자 중 50% 이상이 중등도 이상으로 진행된 후 진단을 받는 것으로 보고됐다.

알츠하이머협회의 2019년 보고서에 따르면, 일차 진료의 중 절반 정도는 치매 환자를 적절히 돌볼 준비가 돼 있지 않다고 답했다. 또 55%는 근무 지역에 치매 관리를 할 수 있는 전문의가 부족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 의료진 외에 요양보호사 등 간병 인력 부족 현상도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보고서는 2022년부터 2032년까지 미국에서 약 86만 1,000명의 직접 돌봄 인력이 추가로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과거 인력의 증가 속도와 예상 수요를 고려하면, 메인주를 제외한 모든 주에서 2022~2032년 돌봄 수요가 두 자릿수 비율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됐다. 11개 주에서는 인력 수요가 30%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하지만 이 수치는 사적으로 고용된 채 공식적으로 보고되지 않는 인력인 ‘그레이 마켓(gray market)’을 반영하지 않아 실제 인력 수요는 더 클 것으로 보인다. 유급 간병인을 고용하는 이들 중 1/3 정도는 공식 돌봄 기관이 아닌 그레이 마켓에 의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lzheimer's Association
Alzheimer's Association

돌봄 인력의 저임금과 열악한 근무 환경도 인력난을 가중시키는 요인으로 지목된다. 2023년 기준 미국 요양보호사의 시간당 중위 임금은 16.72달러(한화 약 2만 3,750원)에 불과했고, 연간 중간 이직률도 재가 돌봄 80%, 요양원에서 99%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돌봄 부담은 가족이나 친구 등 무급 간병인에게 고스란히 떠넘겨지고 있다. 지난해 기준 약 1,100만 명 이상의 간병인이 무급으로 환자를 돌보고 있으며, 이들은 192억 시간의 비공식적 돌봄을 제공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는 간병인 1인당 주당 평균 약 31시간, 연간 약 1,612시간에 해당하며, 경제적 가치로 환산하면 4,135억 달러(약 588조 원) 규모에 달한다. 인구 고령화와 출산율 저하 등 사회구조적 변화가 향후 비공식 돌봄 위기를 더 악화시킬 것이란 경고도 계속되고 있어 정책적 대응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치매 환자 1인당 평생 돌봄 총비용은 지난해 기준 40만 5,262달러(약 5억 7,600만 원)로 추산된다. 이 중 약 70%는 가족이 무급 돌봄과 본인 비용 부담으로 감당한다.

이러한 돌봄 구조는 가족 간병인의 신체·정신적 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끼친다. 치매 간병인 중 59%가 심각한 정서적 스트레스를, 38%가 신체적 스트레스를 호소했다. 우울증 유병률은 30~40%로 뇌졸중 간병인(19%)보다 훨씬 높고, 불안장애 유병률도 44%에 달했다. 입원 확률은 비간병인의 2배이며, 평균적으로 매주 2.4~3.5시간의 수면 부족을 겪는 것으로 조사됐다.

경제적 부담 또한 무겁다. 2021년 기준 치매 간병인의 평균 본인 부담 비용은 1만 2,388달러(약 1,760만 원)로, 비치매 간병인 6,667달러(약 950만 원)의 약 2배였다. 그 결과 48%가 지출을 줄이고, 43%는 저축을 포기했으며, 40%는 식량 부족을, 30%는 식사량을 줄인 경험이 있는 것으로 보고됐다.

의료 및 장기요양 비용 역시 환자와 가족에게 막대한 경제적 압박을 준다. 지난해 기준 미국 메디케어 수혜자 중 환자 1인당 평균 의료·장기요양 비용은 4만 4,814달러(약 6,850만 원)로, 비치매 환자 1만 5,053달러(약 2,140만 원)의 약 3배였다. 본인 부담 비용은 연간 1만 564달러(약 1,500만 원)으로, 메디케어가 보장하지 않는 서비스와 약제비 등이 포함된 금액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디멘시아뉴스(dementia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