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RI 분석 결과 여성만 유의한 구조 변화…호르몬·회복 기전 차이 주목

여성의 외상성 뇌손상(Traumatic Brain Injury, TBI)은 노년기 뇌 위축과 밀접하게 연관돼 있으며, 이는 알츠하이머병 등 퇴행성 뇌질환의 위험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교통사고, 낙상, 운동 중 충돌 등으로 뇌에 외부 충격이 가해져 발생하는 손상을 의미하는 TBI의 병력이 있는 여성은 남성보다 치매 관련 뇌 영역에서 더 뚜렷한 위축이 관찰됐다.

이 내용은 지난 29일 캐나다 토론토에서 열린 ‘2025 알츠하이머협회 국제 콘퍼런스(AAIC 2025)’에서 발표됐다.

 

외상성 뇌손상을 치료받는 여성 / 생성형 AI
외상성 뇌손상을 치료받는 여성 / 생성형 AI

 

이번 연구는 미국 보스턴대학교 알츠하이머병연구센터(ADRC)의 채드 W. 패리스(Chad W. Farris) 박사가 발표한 것으로, 프레이밍험 심장연구(Framingham Heart Study) 2세대 코호트 데이터를 분석해 성별에 따른 TBI의 뇌 영향 차이를 비교했다.

연구에는 TBI 병력이 있는 참가자 159명(평균 연령 약 68세, 여성 54%)과 연령·성별을 일치시킨 대조군 636명(TBI 1인당 4명 매칭)이 포함됐다. 연구팀은 이들의 뇌 자기공명영상(MRI) 자료를 통해 뇌 용적 변화를 측정했다.

그 결과, 여성 TBI 병력자에게서 해마(Hippocampus), 전두엽 회백질(Frontal Gray Matter), 대뇌 회백질 총량(Total Cerebral Gray Matter) 모두에서 유의미한 감소가 확인됐다. 반면, 남성의 경우 TBI 병력이 뇌 구조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다만, 일부 리뷰 연구에 따르면 군인과 운동선수 등 젊은 성인 남성에서 발생한 경미한 외상성 뇌손상에서도 DTI(확산텐서영상)를 통해 백질 연결성 저하나 미세 구조 이상이 보고된 바 있다. 이번 연구에서 남성은 통계적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지만, 이는 MRI로 감지하기 어려운 미세 손상이 있을 수 있음을 암시하며, 성별과 손상 유형을 고려한 정밀 영상연구가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한다

패리스 박사는 “여성에게서만 이러한 차이가 나타난다는 것은 성별에 따른 뇌 손상 후 회복 기전이 다르다는 점을 보여준다”며,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의 영향이나 성별에 따른 뇌 구조적 차이가 원인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TBI 병력이 있는 여성은 인지기능 저하에 더 취약할 수 있으므로 치매 조기진단과 예방 전략 수립에 성별 맞춤 접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연구팀은 특히 여성의 경우 가정폭력, 낙상 등 반복적으로 경미한 외상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고, 이로 인한 누적된 뇌 손상이 향후 인지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을 경고했다.

이번 연구는 단일 시점 MRI 분석에 기반한 관찰 연구이며, 장기적 인과관계 입증을 위해서는 추적 연구가 더 필요하다는 점도 함께 언급됐다.

전문가들은 TBI 자체가 예방 가능한 치매 위험 요인인 만큼 ▲자전거 헬멧 착용 ▲안전벨트 활용 ▲낙상 예방 환경 조성 등 일상에서의 예방 노력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또한 TBI 병력이 있는 여성의 경우 정기적인 인지 평가와 뇌 건강 검진을 권장한다고 덧붙였다.

 

Source

TBI History Linked to Brain Shrinkage in Older Women but Not in Men. Presented at the 2025 Alzheimer’s Association International Conference (AAIC); July 29, 2025. Summary reported by Medscape Medical News. Published July 31, 2025.

관련기사
저작권자 © 디멘시아뉴스(dementia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