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텍사스대 연구진, 20년 장기 추적 조사 결과 발표
난청 환자 중 17%만 보청기 착용...조기 개입 시 치매 예방

PXHERE
PXHERE

미국에서 난청 환자가 70세 이전에 보청기를 착용할 경우 치매 발병 위험이 61% 줄어든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이번 연구는 난청을 조기에 교정하면 치매 예방에 실질적인 효과가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나이가 들면서 나타나는 난청(Hearing Loss)은 치매 발병 가능성을 높이는 주요 위험 요인 중 하나로 꼽힌다.

지난해 발표된 ‘랜싯 위원회(the Lancet Commission on dementia) 보고서’ 역시 난청을 14가지 치매 위험 요인 가운데 하나로 제시하며, 중년기에 잘 관리한다면 인구 기여 위험분율(Population Attributable Fraction) 기준 최대 7%의 예방 효과를 거둘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연구를 이끈 미국 텍사스대 글렌 비그스 알츠하이머·신경퇴행성질환 연구소(Glenn Biggs Institute for Alzheimer’s and Neurodegenerative Diseases)의 수다 세샤드리(Sudha Seshadri) 박사팀은 나이대별 보청기 착용과 치매 발병률의 연관성을 조사했다.

연구팀은 미국심장학회(ACC)가 진행하는 대규모 코호트 연구인 ‘프레이밍햄 심장 연구(the Framingham Heart Study)’에 참여한 60세 이상 2,953명을 대상으로 최대 20년간 추적 관찰했다.

참가자들은 1977~1979년과 1995~1998년 두 차례에 걸쳐 ‘순음 청력 검사(Pure-tone Audiometry, PTA)’를 받았다. 보청기를 착용했거나 ▲0.5 ▲1.0 ▲2.0 ▲4.0 kHz 주파수에서 더 잘 들리는 귀의 PTA 평균이 26dB 이상인 경우 난청으로 분류됐다.

분석에서는 콕스 비례위험 회귀(Cox proportional hazard regression) 모델을 적용해 난청이 있으면서 보청기를 착용하지 않은 집단과 보청기를 착용한 집단, 난청이 없는 정상 집단으로 나눠 치매 발병까지 걸린 시간을 비교했다.

또한 나이에 따른 차이를 반영하기 위해 70세를 기준으로 구분해 분석했다. 이외에 성별과 뇌졸중 위험 프로파일(Framingham Stroke Risk Profile), 교육 수준 등을 추가로 보정했다.

연구 결과, 전체 참가자의 20%인 583명이 치매 진단을 받았으며, 이 중 245명(42%)은 청력 평가 당시 70세 미만이었다.

특히, 70세 미만 난청 환자 집단에서 보청기를 착용한 사람은 그렇지 않은 이들보다 치매 위험이 61% 낮았다.(위험비 0.39, 95% CI 0.17-0.89, P=0.03). 난청이 없는 집단에서도 보청기 미착용 난청 환자와 비교해 29% 낮은 발병 위험을 보였다.(위험비 0.71, 95% CI 0.54-0.95, P=0.02)

이러한 경향은 뇌졸중 위험 프로파일이나 교육 수준을 추가로 보정한 후에도 유지됐다. 하지만 70세 이상에서는 보청기 착용 여부와 치매 발병률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연관성이 확인되지 않았다.

연구팀은 “난청을 조기에 교정하는 것이 치매 위험을 낮추는 데 결정적 역할을 한다는 점을 보여주는 첫 관찰 연구”라고 강조했다.

이어 “전 세계적으로 중등도 이상의 난청 환자 중 보청기를 사용하는 비율은 17%에 불과하다”며 “치매 예방을 위해 조기 개입과 보청기 보급 확대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다만 이번 연구는 보청기 착용 시간이나 실제 지속 여부 등 사용 범위를 파악하지 못한 점, 나이와 난청 중증도 측면에서 조기 개입 효과를 구분하기 어려운 점, 교육 수준 외 사회경제적 지위를 고려하지 못한 점에서 한계가 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지난 18일(현지 시간) 국제학술지 ‘JAMA Neurology’에 온라인으로 실렸다.

 

SOURCE

Francis L, Seshadri S, Dillard LK, et al. Self-Reported Hearing Aid Use and Risk of Incident Dementia. JAMA Neurol. Published online August 18, 2025. doi:10.1001/jamaneurol.2025.2713

관련기사
저작권자 © 디멘시아뉴스(dementia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