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메타분석 결과…항바이러스제·백신 접종군에서 치매 위험 감소 신호 확인
치매와 바이러스 감염의 관계를 둘러싼 논란에 새로운 근거가 나왔다. 스프링거 네이처(Springer Nature) 산하 치매 분야 대표 오픈액세스 저널 <Alzheimer’s Research & Therapy> 9월 2일 자에 게재된 체계적 문헌고찰·메타분석은 헤르페스 바이러스 감염과 치매 위험의 직접적 연관성은 크지 않지만, 항바이러스 치료와 백신 접종은 치매 발병 위험을 낮추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덴마크 코펜하겐대학교병원 신경과 산하 덴마크 치매연구센터(Danish Dementia Research Centre, Rigshospitalet), 코펜하겐대학교 공중보건학부 일반의학연구소, 영국 에든버러대학교 감염의학부 등이 참여한 국제 공동연구다. 제1 저자 나디아 재스민 드링콜 연구원과 교신저자 군힐드 발데마르 교수(덴마크 코펜하겐대학교 치매연구센터)가 이끄는 연구팀은 유럽, 북미, 아시아 등에서 발표된 총 32편의 역학 연구(코호트·환자-대조군 연구 포함)를 종합 분석했다.
여기에는 영국과 웨일스에서 진행된 대상포진 백신 효과 분석, 대만과 한국의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활용한 항바이러스제 처방 효과 연구, 미국·유럽의 단순헤르페스바이러스(HSV, Herpes Simplex Virus) 혈청 양성률을 장기간 추적한 연구 등이 포함됐다. 연구 규모는 수백 명에서 수십만 명까지 다양했다.
연구팀은 입 주위 물집을 일으키는 단순포진(HSV-1)과 주로 생식기 감염을 일으키는 단순포진(HSV-2), 그리고 소아기에 수두를 일으켰다가 몸속에 잠복해 있다가 고령기에 대상포진으로 재활성화되는 수두-대상포진바이러스(VZV) 감염이 치매 발병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정량적으로 살펴봤다.
그 결과, 단순헤르페스바이러스(HSV-1, HSV-2) 감염 후 치매 발생 위험은 1.36배(95% CI 1.01–1.83), 수두-대상포진바이러스(VZV) 감염 후 알츠하이머병 발생 위험은 1.12배(95% CI 1.03–1.35)로 나타났다. 그러나 전체 치매(알츠하이머병과 혈관성 치매를 모두 포함한 경우)에서는 1.13배(95% CI 0.92–1.39)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는 연구 간 이질성이 크고, 연관성이 뚜렷하지 않음을 보여준다.
흥미로운 점은 치료와 예방 개입 효과였다. 대상포진에 걸린 뒤 항바이러스제를 투여받은 환자군은 치매 위험이 12% 낮았다(HR 0.88, 95% CI 0.81–0.96). 또 영국 웨일스에서 백신 접종 자격 경계를 활용한 자연실험 연구에서는 대상포진 백신을 맞은 고령층이 접종하지 않은 이들보다 7년 내 치매 진단 위험이 약 20% 낮았다는 결과도 보고됐다.
연구팀은 “HSV-1, HSV-2와 VZV 감염 자체가 치매의 직접 원인이라고 단정하기는 어렵지만, 항바이러스 치료와 백신 접종이 뇌 건강에 추가적인 보호 효과를 줄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이번 결과는 대부분 관찰 연구를 종합한 것이어서, 역인과(초기 인지 저하로 감염 위험이 커지는 경우)와 잔여 교란 요인을 완전히 배제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향후 무작위 임상시험과 장기 추적연구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는 치매 예방의 새로운 접근 가능성을 보여준다. 고령층에서 대상포진 백신 접종을 확대하는 정책은 신경계 합병증 예방뿐 아니라 치매 위험을 낮추는 ‘잠재적 부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하지만 항바이러스제를 치매 예방 목적으로 광범위하게 사용하는 것은 아직 근거가 충분하지 않으며, 임상적 검증이 이어져야 할 과제로 남아 있다.
Source
Drinkall, N.J., Siersma, V., Lathe, R., Waldemar, G., Janbek, J., et al. (2025). Herpesviruses, antiviral treatment, and the risk of dementia: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Alzheimer’s Research & Therapy, 17, 201. Published online September 2, 2025. https://doi.org/10.1186/s13195-025-01838-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