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유전자 검사 지자체 확대‧…아직은 시기상조?
치매유전자 검사 지자체 확대‧…아직은 시기상조?
  • 조재민 기자
  • 승인 2020.12.07 17:2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근본적 치료법 부재와 정확도 등 문제 다수

치매유전자 검사를 통해 치매 예방을 계획하는 지자체가 늘면서 활용 방안과 실효성 등에도 시선이 엇갈리고 있다.

지역사회 치매관리를 활용한 일부 기업의 돈벌이 수단으로 전락할 수 있다는 우려와 함께 유전자 검사를 통한 치매 발견의 실효성도 여전히 의구심이 들고 있어서다. 

즉, 치매예방 사업으로 활용하기는 시기상조라는 지적이다. 치매예측의 불확실성, 발견 후 근본적 치료법 부재와 예방의 기대효과 편차 등이 실효성과 관련된 주요 문제다.  

7일 일부 지자체에 따르면 치매안심센터 등을 통한 유전자 검사 활용 치매예방 사업을 진행을 구상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강남구의 경우 내년부터 치매안심센터에 위치한 강남 웰에이징 센터를 통해 유전자 검사를 활용한 치매예방을 진행할 예정이다. 

최근 열린 K-디멘시아 국제포럼에 참가한 정순균 강남구청장은 이 같은 계획을 밝히고, 치매 예방에 적극적으로 활용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전남 고흥군도 조선대 광주치매코호트 연구단과 연계해 치매유전체 검사 시행을 진행한 바 있다. 

치매유전자 검사를 통해 선제적으로 치매를 예방하겠다는 의도지만, 해외의 경우 아직까지도 정확성 등이 담보되지 않은 치매 검사법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시선이 다수다.

미국의 치매 진단법 개발 전문 기업인 C2N 다이어그노스틱스(C2N Diagnostics)는 최근 혈액의 단백질 수치를 통해 알츠하이머 치매를 진단하는 혈액검사법 판매를 시작했다. 

하지만 미국 알츠하이머병 협회(Alzheimer`s Association)는 현재로서는 해당 혈액 검사법의 정확성 등이 일반화될 수 있는지 분명하지 않다며, FDA의 승인없이는 검사법을 인정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내놓기도 했다. 

특히 Amyloid Imaging Task Force는 치매 유전자 보유, 증상이 없거나 인지장애가 객관적으로 확인되지 않은 경우, 법적, 보험 관련, 취업 등 비의료적인 목적의 경우에 아밀로이드 PET 검사를 받는 것은 적절치 않으므로 권하지 않는다고 명시하고 있다. 

결국 임상현장의 치료 관점의 괄목할 성장이 이뤄지지 않으면, 유전자 검사를 통한 선제적 관리의 효과는 효용이 크지 않다는 풀이다. 

실제 치매발현 유전자로 알려진 아포이(APOE) 유전자변이도 발병 위험도는 개인에 따라 차이가 심해 치매 발병을 정확히 예측하기 어려운 한계를 갖고 있다. 2017년 기준 APOE의 경우 전체 치매 발병에 7%만큼 기여한다고 알려져 있다.

치매 유전자 보유자의 일상생활에 대한 큰 상실감도 문제다.

최근 연세대 약학대 한은아 교수팀이 발표한 노인의 치매 진단 후 1년 내 자살 위험을 보면 치매 진단을 받은 노인의 경우 정상노인에 비해 자살률이 2.57배까지 상승했다. 

치매유전자를 보유해 잠재적 치매 환자로 평가받은 사람이 일상생활을 정상적으로 영위하며, 치매예방에 집중하기에는 상당한 무리가 따를 수 있다는 이야기다. 

의료계 관계자는 “란셋 저널 등에 따르면 유전자, 연령, 성별 등을 포함해 조절 불가능한 인자가 치매 발생에 미치는 영향은 60% 전후로 알려져 있으며, 개인마다 편차가 크다”며 “유전자 검사 사업을 통해 지역치매관리를 진행하는 것은 실효성 면에서 아직은 시기상조로 보인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