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만틴 잇는 NMDA 수용체 표적 신약 'SAGE-718' 차별점은?
메만틴 잇는 NMDA 수용체 표적 신약 'SAGE-718' 차별점은?
  • 원종혁 기자
  • 승인 2021.12.02 17:0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세이지 테라퓨틱스, 알츠하이머 2상 종료 "3상 진입 성공 55% 전망"

알츠하이머 치매 신약 분야 NMDA 수용체를 표적으로 한 '양성 알로스테릭 조절제(positive allosteric modulator, 이하 PAM)'의 진입 가능성에 무게가 실릴 전망이다.

해당 신약이 NMDA 수용체의 기능장애를 타깃한 최초의 혁신신약(first-in-class) 물질이라는 점과 접근성이 높은 경구용 옵션으로 개발이 진행된다는 데 기대감이 크다.

현재 NMDA 수용체 계열약으로는 '메만틴'이 유일한 상황에서 알로스테릭 효과를 강조한 신약 후보물질의 등장에 귀추가 주목된다. 

관련 업계에 따르면, 최근 뇌질환약 전문 개발사인 세이지 테라퓨틱스(Sage Therapeutics)가 알츠하이머병 치매약으로 개발 중인 'SAGE-718'의 3상임상 진입 성공에 긍정적인 평가 결과를 공개했다.  

개발사 측에 의하면 최근 완료한 2상임상 자료를 토대로 한 최신 분석 결과, 3상임상 진입 성공률을 뜻하는 PTSR (Phase Transition Success Rate) 지표가 10포인트 증가한 55%로 분석됐다. 

해당 2상 LUMINARY 연구(NCT04602624)는 지난 9월 21일 종료됐으며, 글로벌 임상 등록사이트인 ClinicalTrials.gov 11월 5일자에 이번 PTSR 변경사항이 업데이트됐다.

더불어 세이지 테라퓨틱스는 업데이트를 통해 SAGE-718의 최종 허가승인 확률(Likelihood of Approval, 이하 LoA)이 이전과 비교해 19%까지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오픈라벨 방식으로 진행된 해당 2a상임상은 알츠하이머병으로 인한 경증 치매 또는 인지장애 환자 26명이 분석 대상이었다. 주요 평가변수는 치료에 따른 응급 이상반응 발생률이었으며, 연구는 SAGE-718의 안전성과 내약성 평가에 초점이 맞춰졌다.

본 연구의 세부 임상 데이터는 아직 공개되지 않았으나, 주요 톱라인 결과는 올 연말 공개될 예정이다.

#NMDA 수용체 타깃 PAM 계열 혁신신약 기대 "헌팅턴병 신속심사 진행 중"

통상 치매의 인지증상을 완화시키는 현행 약물 옵션은 두 가지 계열로 분류된다. '아세틸콜린분해효소억제제'와 'NMDA (N-methyl-D-aspartate) 수용체 길항제'가 대표적.

아세틸콜린분해효소억제제의 경우는, 뇌에 인지기능과 연관된 아세틸콜린의 분해를 담당하는 효소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작용기전을 가진다. 도네페질 및 리바스티그민, 갈란타민 등이 이에 속하는 상황.

반면 NMDA 수용체 길항제는 기억력 유지 및 학습에 관여하는 해당 수용체를 타깃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뇌신경세포의 파괴를 줄여 기억력 증진과 치매의 진행을 늦추는 작용을 하는데, 중등도~중증의 알츠하이머병 치매 환자에 처방되는 메만틴 계열약이 여기에 해당된다. 메멘틴의 경우, 흥분성 신경전달물질인 글루타메이트의 길항작용을 통해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세이지 테라퓨틱스가 준비 중인 SAGE-718은 NMDA 수용체에 작용하는 이중자리조정제 즉, 양성 알로스테릭 조절제(positive allosteric modulator, 이하 PAM)로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여기서 알로스테릭 효과는 활성인자가 단백질의 원래 기능을 수행하는 활성부위(active site)가 아닌, 다른 특정 부위에 결합해 활성부위의 구조를 바꾸는 효과를 지칭한다. 주목할 점은 SAGE-718이 해당 계열 혁신신약으로서 NMDA 수용체 기능장애와 관련해 경구용 치료제로 임상평가가 이뤄지고 있다는 부분이다. 

세이지 테라퓨틱스는 "현재 알츠하이머 치매 외에도 파킨슨병과 선천성 중추신경계 질병인 헌팅턴병에도 신약 임상이 진행 중인 상황"이라며 "NMDA 수용체에 작용하는 PAM 옵션으로 거는 기대가 크다"고 밝혔다.

앞서 미국식품의약국(FDA)은 지난 9월말, SAGE-718의 헌팅턴병 임상자료를 근거로 신속심사지정(fast track designation)을 결정한 바 있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