줄기세포 치료로 인지·행동 장애 개선…국제학술지 Cells 발표

국내 연구진이 줄기세포를 활용해 혈관성 치매 치료 가능성을 제시했다. 제주대학교 바이오메디컬정보학과 박세필 교수가 설립한 바이오벤처 미래셀바이오(김은영, 정형민 공동대표)와 건국대 줄기세포재생공학과 이만열 교수, 가톨릭대 의정부성모병원 신경외과 오재상 교수 연구팀은 공동 연구를 통해 동종배아줄기세포 유래 중간엽줄기세포(MMSC: Multipotent Mesenchymal Stem Cell)가 혈관성 치매로 인한 인지 및 행동 장애 치료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혈관성 치매 모델로 널리 쓰이는 양측 경동맥 협착(Bilateral Carotid Artery Stenosis, BCAS) 마우스를 이용해 진행됐다. 연구팀은 MMSC를 투여한 실험군에서 작업 기억과 장기 기억이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은 물론, 해마 조직 손상도 크게 줄어들었다고 설명했다.

또한 줄기세포 치료는 뇌 속의 혈관 신생을 유도하고, 혈액-뇌 장벽(Blood-Brain Barrier)의 안정성을 회복시키는 데도 기여했다. 세포 수준에서도 ROCK1/2 신호 경로 억제를 통해 신경세포 염증과 세포사멸(Cell Death)을 줄이는 효과가 관찰됐다.

 

MMSC 이식을 통해 혈관성 치매 모델에서 인지기능 및 행동 장애 개선 효과를 검증 - Barnes maze 및 Y-maze 행동 분석 결과, MMSC 처리군에서 각각 기존 치료제인 도네페질 처리군 대비 33.0% 및 16.0% 상향, BMSC 처리군 대비 60.0% 및 25.0% 등 우수한 약리적 효과가 확인됐다(NT; 정상군, VD; 혈관성 치매 질환 모델군, MMSC; MMSC 줄기세포 처리군, BMSC; 골수줄기세포 처리군, Done: 도네피질 치료제 처리군). / 제주대학교
MMSC 이식을 통해 혈관성 치매 모델에서 인지기능 및 행동 장애 개선 효과를 검증 - Barnes maze 및 Y-maze 행동 분석 결과, MMSC 처리군에서 각각 기존 치료제인 도네페질 처리군 대비 33.0% 및 16.0% 상향, BMSC 처리군 대비 60.0% 및 25.0% 등 우수한 약리적 효과가 확인됐다(NT; 정상군, VD; 혈관성 치매 질환 모델군, MMSC; MMSC 줄기세포 처리군, BMSC; 골수줄기세포 처리군, Done: 도네피질 치료제 처리군). / 제주대학교

 

해당 연구 결과는 줄기세포 기반 치매 치료에 대한 가능성을 국제적으로 인정받아 국제 저널 <Cells>(IF 7.7) 2025년 4월호에 ‘Multipotent Mesenchymal Stem Cell Therapy for Vascular Dementia’라는 제목으로 게재됐다.

미래셀바이오 관계자는 “이번 연구에 사용된 MMSC는 기존 간질성방광염 1/2a 임상에서 질환 치료 효능이 이미 입증된 자사가 세계 최초로 개발한 보건복지부 신기술 인증(NET)을 받은 줄기세포”라며, “혈관성 치매 연구를 통해 MMSC가 중추신경계 질환에도 적용 가능하다는 가능성을 새롭게 확인했다”고 전했다.

연구를 주도한 박세필 제주대 교수는 ”향후 치매를 포함한 다양한 난치성 신경·면역질환 치료제로의 확장 가능성을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박세필 제주대 바이오메디컬정보학과 교수, 제주대 줄기세포연구센터 센터장 / 제주대미디어
박세필 제주대 바이오메디컬정보학과 교수, 제주대 줄기세포연구센터 센터장 / 제주대미디어

 

한편 혈관성 치매는 국내 치매 환자의 약 10~20%를 차지하며, 뇌혈관 손상으로 발생하는 대표적인 퇴행성 질환이다. 알츠하이머병을 포함한 다양한 치매 치료에 사용되는 도네페질, 리바스티그민, 메만틴 등이 혈관성 치매 치료에도 쓰이는데 이 약물들은 인지기능을 개선하고 병의 진행을 늦추는 역할을 하지만, 혈관성 치매의 원인인 뇌혈관 손상 자체를 복구하지는 못한다.

 

논문

Kim, E.-Y., Hong, K.-S., Lee, D.-H., Lee, E. C., Chung, H.-M., Park, S.-P., Lee, M. R., & Oh, J. S. (2025). Multipotent Mesenchymal Stem Cell Therapy for Vascular Dementia. Cells, 14(9), 651. https://doi.org/10.3390/cells14090651

관련기사
저작권자 © 디멘시아뉴스(dementia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