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 全 단계별 年 사회적 비용 분석...가족 부담 시간, 83배까지 ‘껑충’
초기 단계서 불안감 커져...APOE4·고혈압 등 요소도 비용 증가와 연관

치매 극초기 단계부터 경제적 부담이 커진다는 독일 연구 결과가 나왔다. / 생성형 AI
치매 극초기 단계부터 경제적 부담이 커진다는 독일 연구 결과가 나왔다. / 생성형 AI

치매로 진단되기 전 인지기능이 떨어졌다고 느끼는 초기 단계부터 의료비나 돌봄 관련 지출이 급격히 증가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독일 DZNE(German Center for Neurodegenerative Diseases) 연구팀은 기억클리닉 10곳을 기반으로 한 코호트(DELCODE)를 통해 2020년부터 2022년까지 참여자 총 324명의 의료 서비스 이용 현황과 간병 관련 데이터를 분석했다.

DELCODE 연구는 임상 데이터를 비롯해 의료 자원 활용, 간병 비용 등을 평가했다. 이 연구에는 의료 비용 외 비공식 간병 시간과 관련한 경제적 데이터 수집을 위해 설문(Health-Related Resource Use in an Elderly Population, FIMA) 방식을 통한 조사도 포함됐다.

비용 분석에서는 공적 지출만을 반영한 ‘지불자 관점(payer perspective)’과 비공식 비용까지 포함한 ‘사회적 관점(societal perspective)’으로 나눠 경제적 부담을 측정했다.

참여자들은 인지기능이 정상인 사람(114명)부터 ▲주관적 인지저하(SCD) 121명 ▲경도인지장애(MCI) 58명 ▲알츠하이머병(AD) 31명으로 분류됐다.

연구 결과, 사회적 관점에서 추산한 총비용은 대조군(5,522유로, 약 900만 원)보다 ▲주관적 인지저하군 52%(8,377유로, 약 1,300만 원) ▲경도인지장애군 170%(1만 4,886유로, 약 2,400만 원) ▲알츠하이머군 307%(2만 2,481유로, 약 3,600만 원)로 급증했다.

지불자 관점의 연평균 비용은 대조군(4,754유로, 약 760만 원) 대비 ▲주관적 인지저하군 26%(5,976유로, 약 950만 원) ▲경도인지장애군 85%(8,795유로, 약 1,400만 원) ▲알츠하이머군 36%(6,454유로, 약 1,000만 원) 더 높았다.

알츠하이머군의 비공식 돌봄 시간은 연간 평균 733.3시간으로, 대조군(8.8시간)의 83배에 달했다.

The economic burden of subjective cognitive decline,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Alzheimer's dementia: excess costs and associated clinical and risk factors(2025)
The economic burden of subjective cognitive decline,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Alzheimer's dementia: excess costs and associated clinical and risk factors(2025)

특히 아직 뚜렷한 인지장애를 보이지 않는 주관적 인지저하 단계에서도 외래 진료 이용 횟수, 약물 수, 공식·비공식 돌봄 시간 등 거의 모든 항목이 대조군보다 높은 수치를 보였다.

주관적 인지저하군의 연간 외래 진료 횟수는 32회로 대조군(24.4회)보다 7.6회 많았고, 복용 약물 수도 4.2종으로 대조군(3.3종)을 웃돌았다.

연구팀은 이에 대해 “객관적 기능저하가 없더라도 인지 건강에 대한 불안과 심리적 스트레스가 의료 이용을 증가시키는 원인일 수 있다”고 해석했다.

비용 상승과 관련된 위험 분석에서는 고혈압이 양쪽 관점에서 유의한 상승 요인으로 확인됐다. 시력 저하와 당뇨, 사회적 고립 등도 비용 증가와 관련이 있었다.

특히 알츠하이머병 발병 위험 인자로 알려진 APOE ε4 유전자 보유자보다 비보유자 집단에서 오히려 더 높은 비용이 발생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추가적인 동반 질환이나 진단 지연에 따른 의료 이용 증가가 나타났기 때문일 것으로 풀이된다.

연구팀은 “알츠하이머병 전 단계부터 이미 의료·사회적 비용이 상당히 늘어나는 만큼, 조기 진단과 예방적 중재의 경제적 근거가 더 명확해졌다”며 “비공식 돌봄 부담이 예상보다 빨리 시작되는 점을 고려할 때 환자뿐 아니라 가족에 대한 조기 지원 체계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바이오마커나 유전자, 생활습관 등의 요인에 따른 비용 부담 격차가 크게 나타나 맞춤형 관리와 정책 수립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향후 연구 과제로는 비공식 돌봄의 구체적 영역화와 조기 중재의 비용 효과 분석, 바이오마커 기반 비용 예측 모델 개발 등이 제시됐다.

이번 연구 결과는 지난 26일(현지 시간) 신경과학 분야 국제 학술지 ‘알츠하이머 연구와 치료(Alzheimer's Research & Therapy)’에 온라인으로 실렸다.

 

Source

Gläser, E., Kilimann, I., Platen, M. et al. The economic burden of subjective cognitive decline,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Alzheimer's dementia: excess costs and associated clinical and risk factors. Alz Res Therapy 17, 142 (2025). https://doi.org/10.1186/s13195-025-01785-9

관련기사
저작권자 © 디멘시아뉴스(dementia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