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 중심 치매 의료관리 본격화…중증화 예방과 삶의 질 향상 기대
보건복지부(정은경 장관)는 22일부터 치매 환자의 지역사회 중심 치료를 위해 ‘치매관리주치의 시범사업’을 1차 연도(2024년 7월~2025년 6월) 22개 시군구에서 2차 연도(2025년 7월~2026년 6월) 37개 시군구로 확대 시행한다고 밝혔다. 참여 의사도 기존 219명에서 284명으로 늘어난다.
치매관리주치의 시범사업은 치매 진단 이후 환자가 단절되지 않고 지역 내에서 계속 통합적인 치료·관리를 받을 수 있도록 한 전문의 중심의 주치의 시스템이다. 단순 진단과 약물 처방에 그치지 않고, 치매의 진행 속도와 동반 질환을 포괄적으로 살펴 개인 맞춤형 의료계획을 수립하는 방식이다.
2년간 단계적 확대…2026년 전국화 추진
시범사업은 2024년 7월부터 2년간 시행되며, 2026년부터는 전국 단위로 확대할 계획이다. 사업에 참여하는 주치의는 신경과,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또는 치매 전문교육을 이수한 의사로, 치매 환자를 대상으로 연 1회 포괄평가와 치료계획 수립, 연 8회 이내의 대면 교육 및 상담, 연 12회 이내의 비대면 관리, 연 4회 이내의 방문진료 등을 제공한다.
또한 환자의 상태에 따라 ‘치매 전문관리’와 고혈압·당뇨병 등 만성질환 관리까지 포함하는 ‘통합관리’ 서비스에서 선택할 수 있다. 모든 서비스는 건강보험 수가가 적용되며, 환자 본인부담은 20%, 중증 치매 환자는 10%로 감면된다.
치매 진단 이후 치료 공백 메운 주치의 모델
기존에는 치매 진단 이후 지역사회에서 체계적으로 환자를 관리할 수 있는 의료체계가 미비했다. 시범사업은 이를 보완하며, 치매안심센터, 광역치매센터 등 지역 자원과 연계해 치매 환자의 건강 유지와 가족 부담 완화를 동시에 꾀하고 있다. 실제 1차 연도 시범사업에 22개 지자체와 174개 의료기관이 참여해 4,300명 이상의 치매 환자가 등록해 지역 내에서 치료와 상담을 받아왔다.
보건복지부는 올해 초 공모를 통해 추가 15개 지역을 선정했고, 이 중 서울 관악구·은평구, 부산 금정구, 대구 수성구, 인천 미추홀구, 경기 성남시·화성시, 전북 군산시, 경남 거제시·남해군 등 전국 15개 시군구가 새롭게 사업에 참여했다.
치매 의료의 ‘가까운 주치의’ 시대 본격화 기대
치매관리주치의 제도는 조기 진단 이후의 치료 공백을 메우고, 지역사회 내 자원을 활용한 통합적 관리 체계를 마련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보건복지부 임을기 노인정책관은 “초고령사회 진입과 함께 치매 환자는 매년 늘어나는 추세로, 내년에는 시범사업을 전국으로 확대하여 치매의 중증화를 예방하고 더 많은 치매 어르신이 사시던 곳에서 필요한 치료와 관리를 받을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라고 설명했다.
“돌봄에 대한 국가 책임을 강화하겠다”
정은경 신임 보건복지부 장관은 이날 취임사에서 “초고령화에 따른 돌봄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의료·요양·돌봄 통합지원 서비스를 전국으로 확대하겠다”며,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어르신이 살던 곳에서 건강한 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돌봄의 국가 책임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 복지부, 치매관리주치의 2차년도 시범사업 공모...시·군·구 20곳 신규 선정
- “향후 10년이 마지막 골든타임”...‘초고령사회’ 정부가 내놓은 치매 대책은?
- 보건복지부, ‘치매관리주치의 시범사업’ 23일 실시
- 치매관리주치의 시범사업 대상 지역 및 의료기관 선정
- ‘2020의 시대’ 치매관리주치의 시범사업에 거는 기대와 우려
- ‘치매관리주치의’ 전국 22곳 시·군·구서 만난다...서울·부산·광주 등 시범사업 하반기 실시
- ‘치매관리주치의’가 치매환자의 치료, 관리의 지속성을 높인다
- [인터뷰] “치매 있어도 괜찮아요” 치매 가족의 삶, 멈추지 않도록
- [인터뷰] 이재혁 큐컴버스 대표 “치매 관리 전 주기 아우르는 플랫폼 만들 것”
- “지역사회와 함께 만드는 치매 돌봄 생태계”…2025 치매 생태계 세미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