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 부정적 의미로 수치심 안겨줘 … 조기 진단‧치료 방해 원인
더불어민주당 김주영(김포시갑) 국회의원은 20일 치매관리법 일부개정법률안을 발의했다고 밝혔다.
이 법안은 김주영과 함께하는 청년명예보좌관 2기 프로그램의 정책개발 경연대회에서 심혜원(20) 청년명예보좌관이 제안한 것이다.
현행법상의 “치매”는 '癡呆(어리석다)'라는 의미를 한자로 옮긴 것으로, 일본에서 전해 받고 해당 한자어를 우리 발음으로 읽어 사용하게 됐다. 그 부정적인 의미 때문에 환자 가족에게 수치심을 주고 조기 진단과 치료를 방해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한자문화권인 대만은 실지증(失智症, 2001년), 일본은 인지증(認知症, 2004년), 홍콩은 뇌퇴화증(腦退化症, 2010년)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한편 복지부는 2021년 치매 용어에 대한 대국민 인식조사를 진행한 바 있는데 당시 치매 대체 용어로 인지저하증, 기억장애증, 인지장애증 등이 거론됐다.
관련기사
- 치매 용어 개정 핵심은 치매 전문가 의견 '주목'
- 치매용어 개정협의체 본격 가동, 명칭변경 실현될까?
- "정책 축소 없다지만", 치매정책과 폐지에 후퇴 우려 '확산'
- 치매 명칭, 신경인지장애로 변경? 학계 "국민 의견이 우선"
- 복지부, 치매 용어 관련 국내외 사례 분석 연구 추진
- 치매명칭 변경 찬반 팽팽…사회적 효용성 vs. 사회-의학 합의 부족
- 국회서 잠자고 있는 치매관리법, 처리 가능성 '난망'
- 문 대통령 치매 명칭 변경 언급…현실성과 가능성은?
- 문 대통령, "치매라는 용어, 새롭게 검토할 때"
- 치매환자 가족들도 치매 용어 변경에는 '무관심'
- 어리석다는 뜻의 치매, 인지저하증으로 변경 추진
- 해마다 올라오는 치매 이름 바꾸기 청원...국민적 관심 'UP'
- [칼럼] 치매 대체 용어가 갖춰야 할 조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 [칼럼] 우리나라는 치매 병명 개정을 위해 어떠한 노력을 해왔는가?
- '어리석다'는 부정적 의미의 치매, 용어 변경 재추진
- 이젠 바꿔야 할 용어 '치매', 국가 법령에서도 잘못 사용
- 국회입법조사처, 23년 연구용역 선정…치매 시너지 '기대'
- 제약바이오산업 육성·지원 종합계획 발표, "고령화 치매 포함"
- 21대 국회 회기 말, ‘치매’ 용어, ‘인지저하증’으로 바뀔까
- '어리석다'는 부정적 의미의 ‘치매’를 ‘인지증’으로 변경 추진
- 올해도 ‘치매 정명’ 나선 정치권...김주영 의원 “‘뇌인지저하증’ 변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