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령주의 극복과 포용적 사회 실현 위한 국제 전략 논의

아셈노인인권정책센터(원장 이혜경)는 20일 국가인권위원회(위원장 안창호), 주한유럽연합대표부(대사 마리아 카스티요 페르난데즈)와 공동으로 ‘연령주의를 조명하다: 문화적 현실, 구조적 장벽, 그리고 변화의 길’을 주제로 제5차 아셈 노인인권 포럼을 개최했다. 국내외 전문가 70여 명이 참석해 연령차별 극복 방안을 모색했다.

 

개회사를 전하는 이혜경 아셈노인인권정책센터 원장 / 아셈노인인권정책센터
개회사를 전하는 이혜경 아셈노인인권정책센터 원장 / 아셈노인인권정책센터

 

이혜경 원장은 개회사에서 “연령주의는 노인의 기회를 제한하고 불평등을 고착화한다”며, 사회적 인식 변화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어 안창호 위원장, 마리아 카스티요 페르난데즈 대사, 이학영 국회부의장, 베아타 스토친스카 아시아-유럽재단 사무총장, 산 륀 아세안 사회문화공동체 사무차장이 축사를 전했다.

기조연설에서 클라우디아 말러(Claudia Mahler) UN 노인인권 독립전문가는 갈등, 이주, 팬데믹, 기후위기 속에서 노인이 정책 우선순위에서 배제되고 있다며, 평등·존엄·비차별 원칙에 따른 보편적 사회보장을 권리로 명확히 규정하고, 실질적인 보장을 위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세션 1에서는 마를렌 크라소비츠키(Marlene Krasovitsky) 호주 에브리 에이지 카운츠(EveryAGE Counts) 공동 의장이 문화권별 맞춤형 대응을, 욜란타 페레크-비아우아스(Jolanta Perek-Białas) 폴란드 야기엘로니안대 교수는 지역 단위 고령친화 정책을, 김주현 충남대 교수는 가족구조 변화와 ‘성공적 노화’ 담론이 불러올 양면성을 짚었다.

세션 2에서는 알라나 오피서(Alana Officer) WHO 인구변화 및 건강한 노화 부서장이 WHO 연령주의 척도 활용과 정책·교육 개입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텡쿠 아이잔 빈티 텡쿠 압둘 하미드(Tengku Aizan Binti Tengku Abdul Hamid) 말레이시아 민간연금관리청 의장은 동남아시아의 제도적 대응 부족을, 이수영 고려대 고령사회연구원 특임교수는 한국 노동시장의 연령차별 문제와 개선 방안을 제시했다.

세션 3에서는 카이 라이셰링(Kai Leichsenring) 유럽사회복지정책연구센터 원장이 ‘Ageing 4.0’ 모델을 소개했고, 앗니끄 노바 시기로(Aniek Nova Sigiro) 인도네시아 국가인권위원회 상임위원은 권리 기반 법제 정비를, 솜삭 악실(Somsak Akkasilp) ASEAN ACAI 대표는 아세안 국가의 포용적 고령화 전략을 발표했다.

아셈노인인권정책센터는 이번 포럼이 아시아·유럽 전문가들이 연령주의 문제와 대응 전략을 공유한 뜻깊은 자리라며, 앞으로도 협력과 파트너십을 통해 연령차별 해소와 노인 인권 증진에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포럼 주요 인사 단체 사진 / 아셈노인인권정책센터
포럼 주요 인사 단체 사진 / 아셈노인인권정책센터

 

관련기사
저작권자 © 디멘시아뉴스(dementia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