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정책 인지도 1위 조기검진서비스…성년후견은 최하위
치매정책 인지도 1위 조기검진서비스…성년후견은 최하위
  • 조재민 기자
  • 승인 2021.07.22 17: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20년도 노인실태조사-고령층 정보 접근성 개선 지적

최근 도입된 치매정책 중 치매조기검진서비스가 가장 높은 인지도를 보였고, 성년후견인 제도가 가장 저조한 인식도를 보였다. 

노인 정책 인지도는 치매조기검진서비스가 44.1%로 가장 높았고, 치매치료관리비 지원서비스 29.7%, 치매전담요양기관 26.9%, 치매안심센터 26.0%의 인지도를 보였다.

반면, 성년후견인제도에 대해 잘 알고 있는 비율이 10%로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해 제도 활성화 부족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됐다. 

최근 보건사회진흥원은 복지부 연구용역인 '2020년도 노인실태조사 보고'를 발표했다. 해당 보고서는 노인의 생활 현황과 특성-욕구를 파악해 복지정책 마련의 기초자료로 제공된다. 이번 실태조사는 969개 조사구의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조사를 수행했으며, 1만 97명이 최종 조사에 참여했다. 

▲고령층의 주요 문제 '치매'…상황-조건별 검진율 지표 다양

고령사회 진입에 따라 치매가 고령층의 주요 문제로 부각되면서 다양한 지표들이 보고서에 수록됐다. 

먼저 지난 2년간 77.7%의 노인이 건강검진을 받은 경험이 있으며, 이중 치매검진을 받은 노인은 전체 노인의 42.7%였다. 이는 일반 건강검진수진율보다 낮은 수준이며, 지역별로는 읍면부 노인의 47.2%로 동부 노인 41.2%보다 높았다. 성별로는 여자 노인이 44.0%로 남자 노인의 40.9%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연령별 검진율은 대체적으로 연령이 높을수록 높은 경향을 보였다. 65~69세(32.0%)가 가장 낮고, 70~74세(42.5%), 75~79세(50.5%), 80~84세(52.6%)의 수치를 기록했다. 배우자 유무별로는 유배우 노인이 41.0%로 무배우 노인의 46.1%보다 낮았다. 가구형태는 노인독거가구가 45.9%로 가장 높고 노인부부가구는 41.0%로 저조했다. 

교육수준별 검진율은 초등학교 군이 48.8%로 가장 높고, 고등학교 군이 35.6%로 가장 낮았다. 중위소득별로는 중위소득이 낮을수록 검진율이 낮아지는 경향이 보이며, 기능상태 별로는 기능 제한이 있는 노인이 54.0%로 기능 제한이 없는 노인이 41.1%보다 높은 수치를 보였다. 

▲노인복지정책 우선순위 1위 빈곤…2,3,4위 치매 연관성多

노인복지정책 확대 우선순위를 보면 1위가 빈곤(49%)이며, 뒤를 이어 치매와 연관성이 큰 노인건강(45.9%), 노인돌봄(32.0%), 치매 (22.5%) 등이 차지했다. 

향후 확대가 필요한 노인복지정책 1순위를 살펴보면 빈곤 완화, 건강, 돌봄 서비스에 85.2%가 집중되는 결과를 보였고, 2순위까지 고려 시 치매, 노인고용/일자리 지원, 여가문화, 사회참여 정책에 대한 욕구가 높아졌다. 세부적으로 보면 연령이 높아질수록 건강과 돌봄 정책 필요성을 높게 생각하며, 성별 차이에서는 치매 정책에 대한 우선순위가 남자에 비해 여자가 더 높게 나타났다. 또 학력이 높을수록 치매정책과 고용정책에 대한 확대가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보고서는 다양한 치매 정책들이 쏟아지는 만큼 정책 이용률과 인지도를 높일 방법이 필요하다는 분석도 제시됐다. 고연령, 독거노인, 저학력, 기능 제한의 경우 정책에 대한 낮은 인지도는 정보 부족으로 정책의 이용 제한으로 나타날 수 있어서다.

보고서는 “치매정책의 확대와 활성화를 위해서는 노인 정책에 대한 정보 접근성이 낮은 노인층을 대상으로 한 인지도 향상 노력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