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치매 인프라 증가세…대국민 확산 방안 ‘필요’
국내 치매 인프라 증가세…대국민 확산 방안 ‘필요’
  • 조재민 기자
  • 승인 2021.08.16 16:4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 치매파트너 119만-일본 치매 서포터즈 1,200만명 대비

국내 치매파트너가 119만 명을 넘어서며 꾸준한 증가를 보이고 있지만, 대국민 활성화를 위해서는 추가적인 대책이 요구되는 모습이다.

가까운 일본의 경우 국내 치매파트너와 유사한 개념인 치매서포터즈가 1,200만 명에  달하는 등 전반적인 치매 인프라에서 격차를 보이는 데 따른 것이다.

16일 중앙치매센터 치매파트너 현황 등에 따르면 치매파트너는 지난해 동기간 대비 15만 명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의 경우 지난 2012년부터 오렌지플랜을 통해 치매서포터즈 양성을 시작했고, 국내는 지난 2017년 치매국가책임제를 통해 본격적인 양성에 나선 상태다.  

지난해 8월 104만 명 수준이던 치매파트너는 올해  8월 16일 기준으로 119만 8,701명이다. 정책 수행 기간대비 증가세를 비교해도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 셈이다. 

정책의 홍보가 가장 적극적으로 이뤄지는 정책 초기 이후 상당한 시일이 지난만큼 재차 치매파트너 확대를 이뤄낼 수 있는 추가적인 대책이 필요하다는 이야기다. 

먼저 특정성별과 연령에 집중된 상황의 변화가 시급한 상황이다. 치패파트너 성비를 보면 여성이 69%인 반면, 남성은  31%에 그치고 있다. 또 연령별 비충도 고령층에 집중된 상황이다. 연령별로 보면 70대 이상(36%), 60대(13%),  20~30대(19%), 40~50대(18%), 10대(14%)의 순을 보였다.

국내외 치매교류 활성화도 여전히 요원한 모습이다. 글로벌 코로나 장기화와 반일감정 등에 따라 가까운 치매 선진국인 일본과의 교류는 상당수 후퇴한 상태다.  

일본은 기존의 신(新)오렌지 플랜을 통해 주무 부처인 후생노동성과 내각부, 경찰청, 금융기관청, 소비자청 등 11개 부처가 공조체제를 구축해 정책을 이행하고 있으며, 지역중심으로 대응체계를 개편 후 치매인프라 제공을 확대 중이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다부처의 협력을 확대하고 있지만, 고령문제에 국가적인 역량을 쏟고 있는 일본과 비교하면 아직은 부족하다는 평이 다수다. 결국 일본은 물론 다수 국가를 통해 치매 인프라 확대를 위한 교류의 재시작이 필요하다는 해석이다.

지난해 코엑스에서 개최된 디멘시아포럼을 통해 국제알츠하이머병협회 파올라 바바리노 대표는 코로나에  따른 치매 분야에 대한 무관심 확산의 경계를 주문했다. 현재까지 진행된 치매 관련 세계적 협동과 목소리들이 코로나로 단절될 수 있다는 우려다.  

코로나 장기화로 치매 인프라 확대 저하 등에 따라 향후 이를 개선-확대할 방안과 국제적 교류 활성화를 위한 대책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