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흡기 질환 취약・면역력 저하…치매 노인, 행동 예측 못해 조심해야
반드시 의료진 찾아 검사해야…넘어지면 고관절 골절 위험 2배 증가
많은 사람들이 다이어트를 위해 체중 감량에 투자를 아끼지 않는다. 근육질 몸을 만드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이지만 그리 쉽지만은 않다. 음식 조절은 물론 피트니스센터에서 땀을 빼기에 열심이다. 각고의 노력 끝에 체중 조절에 성공했다 해도 시간이 지나면 또다시 과거의 몸 상태로 되돌아간다. 반면 체중 감소가 그리 기쁘지 않은 사람이 있다.
노인이 치매나 암, 당뇨 등의 질환 없이 급격하게 체중이 빠지면 위험신호로 받아들여야 한다. 60세 이상 성인의 체중이 줄어드는 경우는 거의 없다. 1년 동안 별다른 원인 없이 의도치 않게 체중 감소가 5%를 초과하면 반드시 원인 검사를 해야 한다. 특히 본인의 몸무게의 10%가량 빠지면 건강에 적신호가 왔다는 경고로 받아들여야 한다.
체중이 10% 이상 줄면 1~2.5년 이내에 사망률이 9~38%까지 증가한다는 연구보고가 있다. 최근 연구논문에 따르면 체중이 이같이 큰 폭으로 줄면 사망 위험이 4배나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근육이 손실되어 호흡기 질환에 취약하며, 힘이 없어 자칫 넘어지기라도 하면 고관절 골절의 위험이 2배나 증가하기 때문이다.
또 단백질 부족으로 면역력이 저하되어 감염병에 쉽게 노출된다. 특히 치매에 걸린 노인이라면 어떤 행동을 할지 예측할 수 없기에 더욱 그렇다. 체중 감소는 결코 가볍게 넘길 문제가 아니다.
노인의 체중감소는 체중 변화와 연관이 없는 조건에서도 언제 어디서건 간에 사망 위험이 도사리고 있기 때문에 변화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미국 빅토리아주 멜버린 소재 모나쉬대학 공중보건 및 예방의학과 후세인 교수가 만성질환이 없는 건강한 남성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체중이 10% 감소하면 조기 사망 위험이 4배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예를 들어 체중이 65kg인 사람이 7kg 줄어 58kg이 됐다면 신체 어딘가 문제가 있다고 판단하고 의료진을 찾아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위험도 증가는 질환이나 노화뿐 아니라 부상‧사고 등 사망에 이를 수 있는 모든 원인에 적용된다.
연구 참가자는 1만6,523 명으로 연령이 75세 ± 4.3세이고 55.6%가 여성이다. 이들을 4.4년 ± 1.7년 동안 추적·관찰했는데 1,256명이 사망했다. 체중이 5~10% 감소한 남성의 사망 위험이 안정적인 남성보다 33% 높았다.
체중이 10% 이상 감소한 남성의 사망 위험은 289%에 달했으며 이는 안정적인 체중을 가진 남성에 비해 거의 4배나 높은 수치이다. 반면 여성의 사망 위험은 완만한 곡선을 그리며 증가했다. 이 연구보고서는 ‘아메리칸 매밀리 의사’ 최근호에 게재됐다.
국내 연구논문에서도 체중 감소와 사망률과의 관계가 잘 나와 있다. 삼성서울병원 내분비대사내과 김재현·김규리교수, 대구가톨릭대병원 내분비대사내과 권소윤 교수 공동 연구팀은 중년 이후 체중의 급격한 변화는 사망위험이 높아진다는 점을 확인했다고 지난 24일 밝혔다.
이 연구결과는 국제당뇨병연맹 학술지에 최근 게재됐다. 연구팀은 급격한 체중 변화와 사망위험 사이의 연관성을 확인하기 위해 2009년부터 2012년까지 4년 동안 국가건강검진을 받은 40∼80세 성인 64만5,260명을 대상으로 평균 8.4년 동안 추적‧관찰했다.
공동 연구팀의 한 관계자는 “중년 이후에 별 이유 없이 체중 변화가 심하면 병원을 방문해서 검진을 받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 말 소리 잘 들리지 않으면 ‘치매 경고’
- 치매 가족력, 생활 습관 통해 치매 위험 극복할 수 있어
- 규칙적인 인터넷 사용, 치매 위험 감소시켜
- 골밀도 낮으면 치매 위험 높아 … 10년 내 치매 진단 확률 2배
- 망막 얇아지면 치매 확률 높아 … 인지 기능 저하 시켜
- 치매 환자, 삶의 만족도 인식할까? … 만족감, 미세하게 차이
- 심리적 고통, 치매 위험 높여 … 17~24% 증가시켜
- '고혈압' 잡고 '치매' 예방하세요 … 알츠하이머 ‧ 혈관성 치매 야기
- ‘광선요법’ 치매치료 효과 입증 … 인지 능력 개선
- 밤새 안절부절못하는 다리, 치매 초기 징후?
- 난청 환자, 보청기 안 끼면 치매 위험 42% 높아
- “연간 치매환자 증가속도 50% 감소, 믿어도 좋아요”
- '잠이 보약' … 잠 못 자면 뇌에 노폐물 쌓여 치매 발병 위험 커
- 날씨 풀리자 치매 어르신 실종 사고 잇따라 … 자칫 큰 사고로 이어져
- 초로기치매 10만명 ... 음주 후 ‘필름 끊김 현상’ 반복되면 의심
- “치매환자도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지역사회 만들어요!”
- ‘혹 떼려다 혹 붙였네’ … 병 고치려다 ‘치매’ 걱정까지
- 치매 예방, 운동만이 열쇠 … 유산소운동, 해마 커지고 기억력 향상
- 뇌 영양제, 일반인에겐 효과 '글쎄'…치매 예방 근거 '無'
- “냉장고 정리하면서 치매 예방하세요”
- 초고령화 사회 맞아 ‘품격있는 죽음’ 원해 … 100세시대 현실
- 치매 이동 검진, 코로나 19 딛고 ‘기지개’ … 치매 안심약국, 약 복용 지도로 차별화
- 디지털 치매치료제 시장 … 춘추전국시대 열렸다
- ‘죽(粥)으로 치매 예방’ … 불로장수 음식 ‘흑임자죽’
- 고령자 교통사고, 대형사고 초래 … 조건부 면허제 만지작
- 도로위 시한폭탄, 고령운전자 … 위기상황 반응시간 일반인 2배
- "먼지 조심하세요", 대기오염 치매 위험↑…대뇌피질 축소 관여
- '잔인한 이별, 치매'… '지중해식 식단'으로 예방
- 진화하는 금융사기…“이렇게 하면 문제 없어요”
- 치매 예방하려면 고혈압 · 당뇨 · 운동 기피 등 3박자 극복해야
- 귓볼 주름 … 치매 ‧ 뇌졸중 전조 증상?
- “젊은 나이에 그거 하나 기억 못해”…‘디지털 치매’ 의심해야
- 60세 이전 당뇨병환자, 치매 노출 위험 커
- “이렇게 하면 치매 막을 수 있어요”
- 마그네슘 부족하면 치매 ‘비상’…지중해식 식단 즐기고 커피 멀리해야
- 악몽 자주 꾸면 ‘치매’ 적신호 … 잦은 악몽, 파킨슨병 위험 85% 증가
- 치매 극복 프로젝트, 각개전투로 ‘돌격 앞으로’
- ‘근육 맨’, 지적 능력 우수하고 알츠하이머 병에서 자유로워